국제 국제일반

'이란 核' 사태 해결 조짐

美 '안보리 결의안' 강행처리 겨냥 9일 6개국 외무 회동<br>美 '북한식 금융제재' 검토등 압박강도 높여…이란 "제재안 강행처리땐 NPT 탈퇴" 강경



'이란 核' 사태 해결 조짐 이란 대통령, 부시에 새 타협안 제시…유가 급락세로美·英등 6개국 외무 9일 뉴욕서 회동FT "美, 북한식 금융제재 검토" 보도 문성진 기자 hnsj@sed.co.kr 일촉측발의 위기로 치닫던 이란 핵사태가 급반전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은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에 보낸 편지를 통해 핵 문제로 인한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안했다고 8일 AP 등 외신들은 보도했다. 이란의 골람 후세인 엘람 대변인도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핵문제로 인한) 전세계의 정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해법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스위스 대사관에 8일 전달된 서한은 향후 미국 대통령에게 전달된 후 그 내용이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제 유가가 장 초반 급락했다. 이에 앞서 미국은 중국ㆍ러시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란에 대한 군사적 대응을 가능케 한 '안보리 결의안'을 강행처리하고 이와 병행해 이란에 '북한식 금융제재'를 검토하는 등 전방위로 압박의 수위를 높였다. 이에 대해 이란은 제재안이 강행 처리될 경우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서 탈퇴하겠다고 밝히는 등 맞수를 놓기도 했다. 한 마디로 '판'을 깰 수도 있다는 엄포다. 이란 의회는 7일(현지시간) UN이 이란의 우라늄 농축 중단을 강요하는 결의안을 채택한다면 NPT 탈퇴를 정부에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물론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의 변화된 서한의 진위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단지 미국의 강경책에 대응한 '강온양면' 작전일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미국과 이란의 대립구도는 오는 9일 오전(한국시각) 뉴욕에서 열리는 미국ㆍ영국ㆍ프랑스ㆍ러시아ㆍ중국ㆍ독일 등 6개국 외무장관 회동에서 해결책을 모색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국제연합(UN)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P5)과 독일 외무장관 회동에서 안보리 결의안 채택 문제는 물론, 이란 핵 문제에 대한 장기적 대응책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러ㆍ중 양국은 결의안 가운데 군사공격을 가능하게 한 UN헌장 7장과 이란 핵의 세계평화 위협 항목 등 2곳을 문제삼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 모임의 결과에 따라 이란 핵문제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사국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더라도 다음주 중 투표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며, 결의안은 5개 상임이사국 모두를 포함해 9개국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채택된다. 존 볼턴 UN주재 미국 대사는 이번 회담과 관련, "외무장관들은 결의안이 금주에 채택된다는 전제 아래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따라서 (결의안 채택) 다음 수순에 대해 주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이란에 대해 북한식 금융제재를 검토중이라고 파이낸셜 타임스(FT)는 밝혔다. FT는 존 스노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 주 "미국이 중대한 위협(이란 핵문제)에 직면하게 되면 금융제재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FT는 대 이란 금융제재는 미 정부가 작년 북한에 취한 경제조치의 전철을 따를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란은 지난해 수출 510억달러, 수입 480억달러로 무역 규모가 약 1,000억달러에 육박해 금융제재의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입력시간 : 2006/05/08 19:1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