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포털사 게시판 자체정화 나섰다

도배글 차단·금칙어 시스템등 강화… 뉴스 편집 중단 검토 잇달아

사회적 책임 논란에 휩싸인 포털업체들이 게시판의 도배글을 차단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자체 정화 운동에 적극 나섰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다음, SK컴즈, 야후 등 국내ㆍ외 포털업체들은 게시판의 도배글을 차단하거나 금칙어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사회적 책임 논란을 피해가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또 뉴스 편집을 중단하는 것을 검토하는 업체들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이는 방통심의위의 온라인 광고불매 운동 게시글 삭제 지시, 각종 민ㆍ형사소송, 조ㆍ중ㆍ동의 뉴스 공급 중단 선언 등 최근 포털 업계를 옥죄어오는 상황을 타개하고자 하는 자구책으로 풀이된다. 다음은 7일부터 모든 게시글의 IP 주소를 부분 공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다음은 도배와 스팸, 타인 사칭 행위 등을 차단하고, 악성비방, 명예훼손 소지의 게시글도 우회적으로 막는 효과를 거둔다는 전략이다. 다음은 또 24시간 이내 누적 게시글이 일정 수 이상인 이용자는 글쓰기 제한, 아이디 정지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좀 더 정교한 금칙어 툴을 만들어 자체 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히 금칙어 시스템을 통해 욕설, 음란성글, 상업적 도배글 등을 막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이것이 네이버의 이익에 따라 왜곡 운영되는 것도 차단할 계획이다. 최휘영 NHN 사장은 “금칙어 툴을 세심하게 하고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에게 주기적으로 평가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의 경우, 게시물의 IP 주소는 이미 지난 2006년 4월부터 공개하기 시작했다. 한편, SK컴즈, 야후 등은 각각 게시물에 대한 모니터링 작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뉴스 편집 중단에 대해서도 검토 중이다. 야후 관계자는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네이버 뉴스 편집을 중단하는 것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SK컴즈 역시 뉴스 편집을 중단하는 안을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SK컴즈 관계자는 “개인정보 보호, 성인물 차단 등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뉴스편집 중단 역시 논의되고 있는 사안 중 하나”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