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월 소비자물가 0.3% 상승

설 성수기불구 농산물 1.1%등 소폭올라2월중 소비자물가가 설 성수기 등 계절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소폭 상승에 그쳐 연초 물가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 오동환(吳東煥) 재정경제부 물가정책과장은 29일 『2월중 소비자물가가 전달 비해서 0.3%, 작년 같은달보다는 1.4%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전월대비 물가상승률은 지난 8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90∼99년 평균(0.8%)의 절반에 못미치는 것이다. 지난해말에 대비한 2월말까지의 물가상승률도 0.4%에 머물면서 90∼99년의 평균 상승률(2.0%)보다 훨씬 낮았다. 설 성수기와 농산물 비공급기임에도 물가가 안정된 것은 농축수산물, 공공요금, 개인서비스요금 등이 모두 소폭 상승하는데 그치고 공업부문은 하락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분야별로는 농축수산물의 경우 상추·밀감·달걀 등이 하락했으나 사과·한우고기·조기·생화 등이 올라 전월대비 1.1% 상승했으며 공업제품은 신문구독료, 소주 등이 상승했으나 세탁기·싱크대 등이 떨어져 전체적으로 0.1%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집세는 전세 0.1%, 월세가 0.2% 오르며 0.1% 상승했고 개인서비스요금은 입시 단과학원 1.5%, 입시종합학원 0.6%, 파마미용료 3.2% 등의 상승으로 0.3% 올랐다.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품목 대상의 생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4% 올랐고 한 달에 1회 이상 구입하는 품목만으로 산정하는 구입빈도별지수는0.3% 상승했다. 또 농축수산물을 중심으로 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3% 올라 상승폭이 컸다. 신선식품 등의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소비자물가지수로 한국은행 물가안정목표의 대상지수인 근원인플레이션율은 전월대비 0.2%, 작년동월대비 0.7%의 상승을 기록했다. 지역별 소비자물가는 대전이 보합, 대구,강원,전북이 각각 0.1% 상승해 낮은 수준을 보인 반면 울산(0.7%), 제주(0.4%) 지역은 평균보다 높았다. 생산자물가는 석유화학제품 중심으로 공업제품가격이 상승했으나 농축산물 및 서비스가격이 하락해 지난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작년 동월에 비해서는 2.1% 상승했다. 안의식기자ESAHN@SED.CO.KR 정재홍기자JJH@SED.CO.KR

관련기사



안의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