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주주몫 제대로 챙기기" 재계 파장 커질듯


국민연금이 올해 상장사 주주총회에서 의결권 행사에 적극 나서기로 해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주주의 입장에서 기업가치를 훼손하거나 주주이익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목소리를 제대로 내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나타내겠다는 것이다. 국민연금은 지난 2007년 말 현재 561개 상장사에 대해 평균 2.68%의 지분을 보유 중인 대규모 기관투자가다. 주총 의결권 강화의 첫 신호탄으로 현대자동차 주총에서 정몽구 회장의 등기이사 선임, 박용성 두산중공업 회장의 두산인프라코어 등기이사 선임에 대해 사실상 반대의사를 밝힐 예정이다. ◇주주 몫, 제대로 챙긴다=국민연금은 12일 보건복지가족부 기금운용위원회 산하 주주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를 열어 현대차ㆍ두산인프라코어 주총에서 총수들의 등기이사 선임에 대한 의결권 행사내용을 확정짓는다. 전문위는 전국경제인연합회ㆍ한국노총 등 가입자 대표들이 추천한 전문가 9명으로 구성돼 있다. 전문위가 두 회사의 주총에서 정 회장과 박 회장의 이사선임건에 대해 반대의견을 내기로 결정할 경우 엄청난 파장이 예상된다. 국민연금법은 국민연금기금 의결권 행사지침에서 ‘이사ㆍ감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과 관련해 법령상 이사로서의 결격사유가 있는 자나 과도한 겸임으로 충실한 의무수행이 어려운 자, 그리고 기업가치의 훼손 내지 주주 권익 침해의 이력이 있는 자에 대해서는 반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최근 밝힌 ‘2008년 주총 의결권 행사 방향’에서 주총에 적극 참여해 이사ㆍ감사선임과 정관변경, 사외이사 출석률, 이사ㆍ감사의 보상 등을 꼼꼼히 따져보기로 했다. 임원의 시차임기제를 도입하거나 집중투표제를 배제하는 안건에는 적극 반대하고 황금낙하산 계약 등을 통해 경영진에 과도한 퇴직금을 지급하는 안건 도입에도 반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이사회 참석률이 60% 미만인 사외이사 후보에 대해서도 재선임을 반대할 방침이다. 국민연금의 한 관계자는 “스톡옵션에 대해서도 ▦시장요인을 고려하는 경우 ▦경영성과를 조건으로 하는 경우 ▦주식보상 물량이 총 발행주식의 3% 미만인 경우 등 세 가지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경우 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주요 주주의 몫을 챙기겠다는 것이다. ◇현대차, 두산인프라코어 타격 불가피=특히 현대차의 경우 최근 미국 투자자문업체 ISS(Institutional Shareholders Service)가 배임과 횡령 등을 문제 삼아 투자자들에게 정 회장의 이사 재선임에 반대할 것을 권했다. 현대차의 외국인투자가는 30% 수준이다. ISS에 이어 국민연금까지 가세할 경우 현대차는 표결을 통해 정 회장의 등기이사 선임에 성공할지라도 국내외 대표 기관투자가들의 반대를 받았다는 부담을 안아야 한다. 게다가 시민단체인 경제개혁연대(옛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도 현대차 최고경영진에 대해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한다고 밝혔다. 정 회장 등 최고경영진이 비자금 조성 등을 통해 회사에 손해를 끼쳤고 결국 주주들에게도 피해를 입혔다는 이유에서다. 경제개혁연대는 현대차 발행주식 총수의 0.01%인 2만8,467주를 모아 주주대표소송에 나설 예정이라며 주주들의 참여를 당부하는 서한을 발송한 상태다. 박 회장도 두산인프라코어 등기이사 선임과 함께 두산그룹 회장 재등극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박 회장을 분식회계 혐의로 고발했던 박용오 전 두산그룹 회장이 최근 성지건설을 인수해 재기에 적극 나서는 등 박 회장 주변이 심상치 않은 분위기다. 한편 현대ㆍ기아차그룹과 두산은 국민연금의 의결권 강화 움직임에 당황하고 있다.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정 회장은 재임기간 동안 주가를 5배 이상으로 올려놓았고 매출도 2배 이상 증가시켜 분명히 주주가치를 향상시켰다”며 “또한 여수엑스포 유치에 앞장서 결국 성사시키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