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임태희 실장 "이달말 특임ㆍ복지ㆍ문화장관 교체"

"의원 출신 장관 국회 복귀 '공생발전' 소통 강화할것"

임태희 대통령 비서실장의 예고 없는 청와대 춘추관 방문에는 뭔가 기류의 변화가 뒤따른다. 19일 점심식사 이후 춘추관을 찾은 임 실장은 작정을 한 듯 감세정책에 대한 말과 함께 여기저기서 말이 많은 개각에 대해 분명한 의견을 밝혔다. ◇공생발전 소통 강화=임 실장은 8ㆍ15 경축사에서 밝힌 공생발전이 기업 옥죄기로 비춰지는 것에 대해 우려하며 소통을 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주 대통령의 해외 순방 후 이르면 9월 초 대기업 총수, 경제5단체장과 대통령의 만남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국민과의 소통도 제시한 만큼 집권 후반기 마지막 국민과의 대화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임 실장은 "주주 자본주의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변화하며 MB노믹스도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방법을 찾는 것이 공생발전이다"고 말했다. ◇8월 말 소폭 개각=이명박 대통령은 이달 말께 현직 국회의원인 이재오 특임장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국회로 복귀시키기 위한 소폭 개각을 단행할 방침이다. 임 실장은 정기 국회 이전에 소폭 개각을 단행하려는 이유에 대해 "부처 예산은 내년에 일할 장관이 짜는 게 맞지 않겠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인택 통일부 장관의 교체설에 대해서는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된다 안 된다 말하기가 어렵다"며 즉답을 피했다. 공석인 민정수석 인사와 관련해서는 "최종적으로 낙점을 언제 할지는 아직 말씀드릴 상황은 아니다"라며 "순방 가기 전에는 인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특임장관은 비워둘 수도 있다는 분위기다. ◇감세혜택 편중 막는 방안 마련=임 실장은 "감세혜택이 외형적으로는 대기업ㆍ부자에 많이 갈 수 있지만 기술적으로 이를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말은 한나라당 내 감세 철회를 주장하는 의원들에게 절충안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임시투자세액공제는 대기업에 혜택이 편중되는 감면제도를 정비하고 고용창출세액공제 확대 등으로 일자리를 만드는 중소기업에 혜택을 줘 실질 조세부담에 있어서는 감세의 혜택이 중소기업과 중산층에 더 가도록 정책을 만들겠다는 의미이다. 임 실장은 감세로 인한 당청 갈등을 우려한 듯 일단 지난 2009년 금융위기 당시 높은 세율에 대한 감세시기를 연장했듯이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에서 재정건전성을 고려해 감세시기를 연기를 검토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제2의 MRO 찾아 개선=임 실장은 공생발전과 관련, 대기업의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과 유사하게 이익 쏠림이 나타나는 분야에 대해 사회적 협약을 통해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임 실장은 유ㆍ무선통신업체와 디지털콘텐츠업체, 대형마트ㆍ백화점ㆍ홈쇼핑과 납품업체 및 입점업체, 시스템통합(SI)업체와 중소소프트웨어 업체 등을 제2의 MRO로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