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용산구 집값 4,500만원 껑충

노원·도봉·강북구도 2,000만원 이상 올라<br>강남은 2,600만원 하락… '북고남저' 뚜렷


지난 한해 동안 서울 용산지역의 집값 평균이 각종 개발호재에 힘입어 가구당 4,500만원씩이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기간 노원ㆍ도봉ㆍ강북구 등 강북3구의 집값은 2,000만원 이상씩 오른 반면 강남구는 2,600만원이 떨어져 ‘북고남저’ 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1월1일 기준으로 산정된 공동주택가격을 분석한 결과 서울지역에서는 용산구가 지난해 4억5,075만원에서 4,517만원이 오른 4억9,592만원을 기록하며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고 5일 밝혔다. 용산구는 용산역세권 개발 및 용산공원 조성 등에 힘입어 지난 한해 동안 집값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부터 강북권 집값 상승세를 견인했던 강북ㆍ노원ㆍ도봉구도 각각 2,171만원(1억701만원?1억2,872만원), 2,168만원(1억5,162만원?1억7,330만원), 2,097만원(1억4,335만원?1억6,432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지역의 가구당 가격은 여전히 서울시내에서는 하위권 수준이다. 반면 강남의 주요지역은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강남구가 지난해 대비 2,676만원이 하락한 6억7,733만원으로 7억원선이 붕괴됐으며 서초구도 1,584만원 낮아진 6억13만원을 기록했다. 송파구는 842만원이 하락한 4억3,562만원, 양천구는 2,260만원 떨어진 3억251만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1기 신도시의 하락도 두드러졌다. 분당이 3,528만원 떨어진 4억5,985만원을 기록했으며 일산(2억4,740만원)과 평촌(2억4,525만원)도 각각 2,827만원과 1,299만원이 하락했다. 수도권에서는 송도국제도시 및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 등에 힘입어 인천지역 집값이 강세를 보였다. 인천은 남동구(1억119만원)가 3,216만원, 연수구(1억8,155만원)가 2,984만원, 남구(8,504만원)가 2,268만원이 오르는 등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한편 국민은행이 최근 발표한 ‘4월 중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서도 강북권의 집값 강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4월 한달 동안 노원구의 집값이 5.9%가 올라 전국 최고의 집값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도봉구와 강북구도 각각 4.6%와 3.5%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봉구와 강북구는 지난달 정부가 노원구에 이어 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추가 지정한 바 있지만 재개발 및 경전철 개발 호재에 힘입어 꾸준한 집값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수도권에서는 의정부가 교통환경 개선, 가능재정비촉진지구 지정 등으로 4월 한달 동안 노원구와 같은 5.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인천 계양구(4.0%), 동구(3.4%)도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반면 용인 수지구와 과천은 각각 0.8%, 0.7% 하락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