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동계도 "강경투쟁" 철회

대정부집회 연기등 일정수정미국의 테러사태는 노동계에도 큰 변화를 주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3개월간 끌어왔던 임금협상안에 대해 지난주말 전격 합의했고 효성 울산공장 150여명의 근로자들도 100여 일간의 장외투쟁을 조건 없이 풀고 15일 회사에 전격 복귀했다. 노동계 집행부는 이번 사태가 근로자들의 권익향상을 위한 입법안 마련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판단하고 기본일정을 수정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그 동안 노동계는 주5일 근무제도입 등 근로조건 변화에 대한 대정부 협상안을 놓고 노동계의 주장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강력한 투쟁을 벌이기로 했으나 전면 연기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주 미국에서 테러가 발생하자 12일 계획했던 '조선일보 구독 거부집회'를 무기 연기했고 민주노총 산하 대우차노조도 같은 날 기자회견을 통해 대정부 강경투쟁 선언을 계획했지만 급랭하는 사회분위기를 고려, 이틀 후 '연성' 기자회견으로 바꿔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주5일 근무제와 관련, ▲ 휴일ㆍ휴가 축소 ▲ 전면실시 유보 단계도입 ▲ 탄력적 근로시간 확대 등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일련의 정책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한국노총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노총은 미국에서 테러사태가 발생한 이후 지도부 정책간담회 외에는 일체의 모임을 갖지 않고 있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대외관계를 고려해 노동계도 자숙하는 것이 도리라고 판단, 일체의 대정부 투쟁집회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다"면서 "노동부는 노사정위원회에서 합의가 되지 않으면 주5일 근무제를 정부안으로 입법화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지도부는 주5일 근무제의 경우 노동부가 정부안으로 입법화 움직임을 굽히지 않고 있지만 자민련과 민주당의 관계를 고려할 때 입법안이 제출되더라도 국회통과는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