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가 마이크로크레디트(무담보소액대출) 사업을 통해 지난 10년간 쌓은 서민금융의 노하우와 데이터가 있는데 정부나 미소금융재단이 이를 활용하지 않아서 답답합니다." 미소금융사업의 원조인 사회연대은행의 이종수(사진) 대표가 정부와 미소금융중앙재단에 대해 고언을 던졌다. 지난 10년간 공들여 쌓은 노하우와 네트워크가 금융당국이나 미소재단의 외면으로 사장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25일 서울 충무로 사무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답답함을 털어놓았다. 사회연대은행은 지난 2001년부터 소외계층이 재기할 수 있도록 무담보로 저리의 창업자금 등을 빌려주는 사업을 해왔다. 그는 "미소재단은 서민금융을 양적으로 크게 성장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면서도"미소금융이 손잡은 소상공인연합회는 인력과 노하우가 제한돼 있어 대출고객에게 밀착해 재기를 도와주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지난 10년간 서민들의 창업 등을 컨설팅해온 시민 마이크로크레디트 기구들의 인력과 데이터를 미소금융이 활용한다면 서민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분야의 창업지도를 해줄 수 있다"며 함께 손잡을 것을 즉석에서 간접 제안했다. 이 대표는 "사회연대은행만 해도 전직 은행원, 부동산 전문가, 유명 호텔 주방장 출신의 요식업 전문가, 전직 창업컨설팅업체 종사자 등 다양한 분야의 컨설팅 인력을 갖추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서민고객들의 대출 거래정보와 자활 동향을 수년간 히스토리화(시계열 자료화)할 수 있는 컴퓨터데이터시스템도 3억원을 들여 구축, 고객들의 자활 성공 여부를 6개월 단위로 데이터화해 분석하고 있다"며 서민금융 데이터시스템 구축 분야에서도 미소금융과 협력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비록 지금도 미소재단은 일부 시민 마이크로크레디트기구들에 '복지사업자' 자격을 부여해 공동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인력ㆍ노하우ㆍ데이터의 교류가 없는 단순한 재무적 지원 관계에 불과하다. 그나마도 최근에는 대출상환율ㆍ대손적립금 등 까다로운 조건이 붙고 있어 연결고리가 옅어지고 있다. 이 대표는 "정부나 미소재단이 아무래도 대출의 주요 재원을 휴면예금으로 삼다 보니 대출 상환율에 집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이렇게 되면 마이크로크레디트가 가진 복지사업적 취지는 사라지고 단순한 상업 금융사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