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부시, 민주당에 '구애 공세'

"이라크 문제 도움된다면 어떤 제안도 수용"<br>이민·대체 에너지등 정책공조 추진도 선언<br>볼턴 유엔대사 인준이 양측협력 풍향계 될듯

조지 부시(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차기 하원의장으로 유력시되는 낸시 펠로시 민주당 원내대표가 9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악수를 나누며 초당적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백악관=AFP연합뉴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12년 만에 상ㆍ하원을 동시 장악한 민주당을 대상으로'구애 공세'에 나섰다. 전날 이라크 전쟁의 책임을 물어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을 전격 경질한 데 이어 9일(현지시간)에는 이라크 문제 논의 개방과 민주당과의 정책 공조를 선언하는 등 '적과의 동침'의사를 분명히 했다. 하지만 일부 분야에서는 여전히 대립각을 세우고 있어 이날 의회에 상정된 존 볼턴 유엔 대사 인준 문제가 공화ㆍ민주 공조체제의 '풍향계'가 될 전망이다. ◇부시 "이라크 문제 논의 개방"= 중간선거 후 부시 대통령이 민주당에 보인 첫번째 화해의 제스처는 이라크 정책이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이라크 정책과 관련 "이라크 민주정부의 성공과 테러리스트의 패배라는 우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움이 된다면 어떤 제안이나 아이디어에도 개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럼즈펠드 국방장관 경질 하루 만에 나온 것으로 부시 행정부의 이라크 정책이 상당부분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부시 대통령의 '애정 공세'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토니 스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민주당과)몇 가지 중요한 분야에서 합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정책 공조를 본격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또 부시 대통령이 ▦이민 ▦교육 ▦대체 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민주당과 공동분모를 발견하기를 원한다며 구체적인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앨런 허바드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 역시 "대통령이 현실적인 정책 이슈들에서 민주당과 협력할 것을 천명했다"며 이를 위해 "에너지 자립을 높이기 위한 대대적인 프로젝트를 곧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 '여소야대'부담이 정책 공조 촉발= 민주당에 대한 부시의 구애는 향후 국정운영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받아들여진다. 지난 2000년 취임이후 처음으로 직면하는 '여소야대'상황에서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하려면 민주당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 대선이 불과 2년밖에 남지 않은 상태에서 의회와의 대립은 곧 정책 수행의 차질을 의미하며, 이는 정권 재창출'실패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 역시 강공 일변도로 나가기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부시 행정부가 정책공조를 선언하며 스스로 '양보'의사를 밝힌 상태에서 계속 밀어붙일 경우 '국정 파행'에 대한 부담을 떠안을 수 밖에 없다. 펠로시 원내대표가 이날 백악관에서 부시 대통령과 만나 "우정과 파트너십을 위한 손을 서로 내밀었다"며 초당적 협력을 다짐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양측의 화해 제스처가 일시적인 것일 뿐 충돌 가능성이 여전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와 관련 10일 워싱턴포스트는 볼턴 유엔 대사의 인준과 줄기 세포 문제에 대해서는 양측간 간극을 좁히지 못하고 있어 잠재적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