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바이오펀드'사업 무산 위기

시의회서 예산 전액 삭감 1,000억원 조성 불투명<br>이미 국내외 투자자 모집 정책 신뢰도 실추 우려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1,000억원 규모의 바이오메디컬펀드 조성사업이 무산 위기에 처했다. 세계 굴지의 바이오펀드인 미국의 옥스퍼드가 무한책임사원(GP)으로 참여해 이미 국내외 투자자 모집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펀드 조성사업이 무산될 경우 정부가 추진하는 여타 펀드 조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4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가 오는 2014년까지 1,000억원을 조성해 설립하기로 한 바이오메디컬펀드가 서울시의회의 예산 전액 삭감으로 사업추진이 불투명해졌다. 이 펀드는 서울시 300억원, 정부 300억원, 민간자본 400억원 등 총 1,000억원으로 조성된다. 현재까지 투자가 확정된 금액은 서울시 300억원, 지식경제부 200억원, 민간자본 250억원 등 모두 750억원이다. 민간자본의 경우 GP로 참여하는 옥스퍼드와 한화기술금융이 각각 10억원, 65억원을 출자하기로 했으며 유한책임사원(LP)으로 참여하는 대한생명과 한화손해보험이 각각 100억원, 75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예산에서 50억원, 중소기업기금에서 25억원을 출자하는 등 총 75억원을 조성했다. 올해 시 예산과 중소기업기금을 포함해 225억원을 추가로 마련할 계획이었지만 시의회가 펀드 예산 225억원을 전액 삭감해 더 이상 출자가 불가능해졌다. 시의회의 입장이 변하지 않을 경우 2014년까지 1,000억원을 조성해 바이오기업 투자에 나서겠다는 정부와 서울시의 계획은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바이오메디컬펀드는 지난해 시의회에서 이미 승인돼 원활하게 추진됐던 사업"이라며 "민주당이 장악한 서울시의회가 일방적으로 예산을 전액 삭감하는 바람에 사업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시의회의 동의를 구할 계획이지만 시의회는 승인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GP로 참여하는 옥스퍼드는 한국 정부와 서울시의 펀드 조성 청사진과 바이오산업 육성정책을 믿고 투자했다"며 "시의회 주도권을 쥔 정당에 따라 투자계획이 바뀐다면 누가 한국 정부의 경제정책을 신뢰하겠느냐"고 토로했다. 서울시는 옥스퍼드를 포함한 출자자들이 사업계획 변경이나 업무 차질을 이유로 이의를 제기하거나 법적 소송에 나설 것에 대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시의회 재경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국가적으로 대규모 바이오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서울시가 바이오펀드를 만들 필요가 없다"며 "다른 지방자치단체도 바이오펀드 회수율이 10%대에 그치는 등 사업 성과가 좋지 않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