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車 회생 시동 걸었다

대우車 회생 시동 걸었다 노-사 구조조정 합의 대우자동차 노사가 27일 인력감축을 포함한 구조조정에 전격 합의함에 따라 최종 부도 이후 꼬여가던 대우차 처리에 한 가닥 실마리가 풀리게 됐다. 대우차 노사 대타협에 따라 채권단이 약속대로 신규 자금지원을 하게 되면 그동안 가동이 중단됐던 부평공장 등 생산ㆍ조립라인이 다시 돌아가게 되고, 연쇄부도 위기에 몰렸던 협력업체들의 자금난에도 숨통이 트이게 됐다. 대우차 노사에 자구의지 소명자료를 요구한 법원이 조만간 법정관리 개시결정을 내리게 되면 그동안 답보 상태였던 GM과의 매각협상도 어떤 식으로든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대우차 노사의 구조조정 합의는 노조가 구조조정동의서에 '인력 구조조정'항목을 명시하는 것을 받아들이는 대신, 사측은 당초 12월로 못박았던 자구 실행 시기를 노조와 협의해 결정하기로 하는 등 노사가 한발씩 양보해 이뤄졌다. 4일 간에 걸친 마라톤 협상에서 회사측은 강도높은 자구실행을 위해서는 인력구조조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고 노조는 "인력감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버텨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그러나 채권단의 노조동의서 요구에 이어 법정관리의 칼자루를 쥔 법원까지 나서 자구실행을 요구하고 나서자 회사 안팎에서 노조의 강경입장으로 청산이라는 파국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해졌고 결국 노사가 한발씩 물러서 타협을 이뤄냈다. 노조측이 막판에 한발 양보함에 따라 이제 '공'은 다시 채권단으로 넘어왔다. 노사가 구조조정에 합의했고 법원이 회사정리절차(법정관리) 개시 결정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채권단이 신규자금 지원에 미적미적 거릴 경우 온갖 비난이 쏟아질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일단 대우차 노사합의에 만족해 하면서 28일 채권단 협의회를 열어 신규자금 지원여부를 논의할 계획이다. 하지만 그동안 대우차 지원에 냉담한 반응을 보였던 채권금융기관들을 설득하는 것도 그다지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주채권 은행인 산업은행 관계자는 "물론 노조와의 타협을 이뤄내기는 했지만 앞으로 매각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다른 금융기관들이 선뜻 자금지원을 하겠다고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지난 주 초 채권금융기관 임원 회의에서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한 만큼 최대한 설득해 지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대우차가 이달 초 지원을 요청한 자금은 6,000억원이었지만 그동안 공장가동 중단 등으로 상황이 많이 바뀐 만큼 지원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의 자금지원 재개로 대우차에 현금이 돌게 되면 부품업체에 대한 현금결제가 가능해져 그동안 부품공급 기피로 중단됐던 대우차 부평공장도 재가동의 길이 열리게 됐다. 하지만 법원의 법정관리 개시결정 여부가 아직 남아있는데다, 그동안 생산중단과 판매ㆍ수출 차질 등으로 대우차의 가치가 상당히 떨어진 점 등은 GM과의 매각협상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김호섭기자 dream@hk.co.kr 이영태기자 ytlee@hk.co.kr 입력시간 2000/11/27 20:28 ◀ 이전화면

관련기사



김호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