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주요그룹들 "PF사업 자제하라"… 계열 건설사 단속 나서

부실 불똥 그룹전체로 확산 가능성 커<br>지급보증 현황 점검등 위기 사전 차단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건설업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건설사를 계열사로 둔 주요 그룹들이 집안 단속에 나섰다. 순환출자와 각 계열사 간 채무보증 등 현재의 지배구조에서는 건설사의 PF 부실이 그룹 전체로 번질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A그룹은 최근 계열 건설회사를 대상으로 경영진단을 실시했다. 이 그룹은 진단 과정에서 특히 PF 지급보증 현황을 집중 점검하고 PF사업을 자제할 것을 지시했다. A그룹 외에도 BㆍC 등 적잖은 그룹들이 자사의 건설사를 대상으로 감사와 현황파악 등에 나섰다. 현재 삼성ㆍ현대자동차ㆍSKㆍ롯데ㆍ포스코ㆍGSㆍ두산ㆍ한화ㆍSTX 등 주요 그룹들이 건설사를 계열사로 두고 있다. 이들 그룹은 각 건설사들이 적잖은 규모의 PF 지급보증을 하고 있고 이런 건설사에 대해 다른 계열사들이 채무보증 등을 서고 있다. 그룹들은 계열 건설사에 대한 감사 및 현황파악에서 PF사업 자제 및 중지 등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침체로 개발사업의 수익성이 떨어진데다 현재의 PF구조에서는 건설사가 모든 책임을 떠안다 보니 사업 중지를 요구한 것이다. 모 그룹의 한 관계자는 "한국의 PF는 건설사가 지급보증을 전적으로 하다 보니 사업이 무산되면 건설사 부실로 연결되고 그 부실이 그룹 전체로 확산되는 구조"라면서 "현재로서는 이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한 신용평가업체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시공순위 10개 건설사의 지난해 말 기준 PF 지급보증(우발채무) 규모는 19조6,336억원에 달했다. S그룹의 건설사는 PF 지급보증 규모가 3조원에 육박한 상황이다. 결국 이 같은 PF 우발채무를 관리하지 못하면 그룹 전체의 위기로 연결될 소지가 다분한 셈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에서 시공사로 참여한 건설사들이 PF 지급보증을 할 수 없다고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재계 분위기의 일환으로 해석되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건설업 구조조정은 산업적 측면에서 별개로 진행되는 것이 맞다"며 "하지만 현재 이슈화된 PF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행처럼 건설사가 모든 PF 리스크를 떠안는 구조에서는 자칫 건설사 부실이 그룹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