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당국 "2금융권, 증자등 자구노력 부터"

■ 은행들 후순위채 경쟁적 발행

캐피털 업체 등 제2금융권의 경우 유동성 문제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먼저 대주주의 증자 등을 통해 자구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현재의 금융시장 상황이 비정상적인 만큼 일정한 지원은 가능하지만 자구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융감독원의 한 관계자는 11일 “여신전문업체의 경우 기본적으로 대주주가 자금을 추가로 집어넣어 유동성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며 이것이 기본원칙”이라면서 “다만 지금 상황은 업체가 큰 잘못을 했다기보다 외부 금융환경이 어려워지는 바람에 문제가 빚어진 만큼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볼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의 또 다른 관계자도 “금감원이 직접 해당 업체에 해줄 수 있는 것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애로사항을 우선 들어보고 이를 관계부처에 전달하는 수준”이라며 “현 금융시장 상황을 십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2금융권에서도 특히 여신전문업체들은 수신 기능이 없는 탓에 자금시장 경색에 따른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국내외 자금조달 길이 막히고 회사채 발행이 사실상 불가능해지자 신규 영업을 중단하는 업체가 속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카드ㆍ캐피털사 대표들은 11일 김종창 금감원장을 만나 정부가 회사채 매입과 만기연장 등을 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저축은행 업계도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5% 미만시 적용되는 적기시정조치와 대손충당금 적립 유예 등을 금융감독당국에 요청하고 있다. 저축은행은 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연체율 상승으로 인한 유동성 문제에 직면해 있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과 교수는 “대주주가 있는 회사들이 어려울 때 공공지원을 바라는 것은 모럴해저드의 문제가 있지만 리먼브러더스의 사례를 볼 때 금융사의 파산 등으로 생기는 파급효과를 감안하면 선제지원을 하는 게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앞으로 지원을 받은 회사의 이익을 흡수하거나 지원조건을 거는 등의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