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금융등 은행간 M&A 빨라진다

금융당국, 민영화 방식 가닥 <br>독과점문제등 대안 마련키로

국내 시중은행 간 인수합병(M&A) 작업이 대폭 앞당겨진다. 올해 금융산업의 핵심 화두인 우리금융지주는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다른 은행과 합병하는 쪽으로 민영화 방식의 가닥이 잡혔다. 다만 이 경우 독과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정부는 다양한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금융 당국은 우리금융 민영화와 동시에 이른바 '빅4 은행'들을 주체로 여타 시중은행들 간 짝짓기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어 상반기부터 은행 간 합종연횡이 관심을 끌고 있다. 4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발생한 돌발상황이 지난해 말로 대부분 정리단계에 들어섰다고 판단, 연초부터 은행 합병작업의 고삐를 죄기로 했다. 당국은 특히 현안인 우리금융 민영화 문제와 관련해 소수지분 외에 경영권이 붙은 지배지분(50%+1주)은 다른 은행과 합병하는 방향으로 처리하기로 방향을 잡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다만 국민 여론 등을 감안해 외국계에 매각하는 것은 배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처리방향은 KB지주나 신한지주ㆍ하나지주 등 세 곳 가운데 하나와 합병하는 쪽으로 잡힐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KB지주나 신한지주는 합병할 경우 독과점 문제가 발생하고 하나지주의 경우 이명박 대통령과 김승유 회장의 관계 등에 따른 정치적 부담이 뒤따를 수 있어 이를 사전에 해결할 방안을 마련하는 데 골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 외에 경남은행ㆍ광주은행ㆍ우리투자증권 등을 분리 매각하거나 경영권을 차지할 수 있는 지분 외에 여타 지분을 국민연금 등에 넘기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우리금융 외에 여타 은행들 간의 합병작업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백순 신한은행장은 이날 신년사에서 "앞으로 국내 금융권의 판도에는 은행 간 M&A가 최대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합종연횡이 마무리되면 은행산업은 메가뱅크들의 과점체제로 고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예상했다. 강정원 국민은행장도 "본격적인 구조개편이 진행되면 금융사 간 경쟁구도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고 밝혀 외환은행을 비롯한 은행 간 M&A에 적극 대응할 것임을 내비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