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도넛 1개에 함유된 포화지방, 햄버거 3개보다도 많아

과자 134개 트랜스지방 조사

비스킷 등 과자류의 트랜스지방은 크게 줄어든 반면 포화지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도넛 한 개에 함유된 포화지방의 양은 햄버거 세 개보다 많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해 상위 10개 식품업체의 134개 과자류의 트랜스지방 함량을 조사한 결과 1회 제공량(약 30g)당 평균 0.1g으로 지난 2005년 0.8g에 비해 대폭 감소했다고 11일 밝혔다. 과자 종류별로 비스킷류는 0.8g에서 0.1g으로 줄었으며 초콜릿가공품은 1.0g에서 0.1g으로, 스낵류는 0.8g에서 0.1g으로 낮아졌다. 이로써 현재 기준으로 트랜스지방 0g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제품 30g당 0.2g 미만 함유제품이 조사 대상 과자류의 94%로 높아졌다. 다만 피자는 1회 제공량의 트랜스지방 함량이 0.5g으로 높게 나타났다. 트랜스지방은 액체 식물성 기름을 고체화시킬 때 생성되며 혈관에 쌓여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인체에 유해한 지방으로 최근 웰빙 영향에 따라 식품업계에서는 함유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식품 내에 트랜스지방 함량은 크게 줄었지만 또 다른 나쁜 지방으로 분류되는 포화지방 함량은 좀처럼 낮아지지 않고 있다. 특히 도넛은 1회 제공량당 포화지방 함량이 2005년 평균 3.3g에서 지난해 평균 7.9g으로 두 배 이상 높아졌다. 일부 제품에서는 도넛 약 1개에 무려 16.3g의 포화지방이 검출돼 성인 하루 포화지방 섭취권장량에 육박했다. 이는 햄버거(평균 2.1g)의 세 배가 넘고 피자(평균 7.5g) 1회량보다 많은 수치다. 포화지방 역시 과량 섭취하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기준 하루에 22g을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식약청의 한 관계자는 "트랜스지방 줄이기를 추진한 결과 대체 지방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포화지방이 오히려 높아지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며 "포화지방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 지원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