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쾌적한 달 주거 위한 핵심기술

태양에너지로 동력… 수경재배로 먹거리<br>건설자재는 공기 팽창형 모듈 '벡트란' 활용

1.집광기 2. 태양광 반사경 3.수족관 4.숙소 5.연구실 6.조류 배양 탱크 7.사교 공간 8.온실

[입지] 분화구 미국 오픈대학의 콜린 필린저 교수는 루나 가이아의 입지와 관련, 적절한 크기의 분화구를 찾아 그 속에 건설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한다. 달에는 태양 방사능 등 인체에 해로운 각종 태양광선을 차단해줄 대기권이 없어 분화구 그늘 속에 기지를 건설하는 것이 거주자들의 건강에 좋다는 것. 루나 가이아 설계자들은 달의 북극 근처에 있는 폭 1.6km의 분화구를 최적의 장소로 보고 있다. [동력] 태양에너지 대기권이 없는 달에서는 태양에너지의 힘이 지구에서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하다. 때문에 태양열 및 태양광으로부터 동력을 얻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에 따라 루나 가이아가 위치한 분화구의 정상에는 직경 30m의 햇빛 반사경 12개가 설치된다. 각 반사경은 태양광을 반사해 집광기로 보내는데, 이렇게 모아진 열에너지로 저장탱크 속의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또한 이 고온의 증기는 터빈을 돌려 기지에 필요한 전력을 만들어 낸다. [건설자재] 공기 팽창형 모듈 루나 가이아의 각 시설들은 신소재인 벡트란(Vectran)으로 제작된 팽창형 모듈을 활용해 건설된다. 벡트란은 나일론보다 가볍고 유연하지만 케블라 섬유보다 강한 내구성을 자랑한다. 동일 중량의 철강보다도 5배나 강하다. 즉 루나 가이아는 벡트란 팽창 모듈을 압축해 달까지 운송한 후 공기를 넣어 팽창시키는 방식으로 지어진다. 이 모듈은 투명하기 때문에 온실을 제외한 거주 시설들은 달의 표토로 얇게 덮여 태양 방사능에서 보호된다. [먹거리] 수족관과 수경재배 거주자들이 먹거리 공급을 위해 수경재배로 농작물을 재배한다. 토양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수경재배가 먹이 연쇄구조를 이용한 자원 순환에 보다 효과적인 탓이다.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틸라피아처럼 좁은 수족관에서 잘 번식하는 물고기들도 양식된다. [식수] 소변의 재활용 루나 가이아에서는 소변조차 그냥 버리지 않는다. 이온교환 필터를 사용,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조류(藻類) 배양 탱크에 넣는다. 이렇게 하면 조류가 소변을 먹고 수증기를 배출하는데, 이를 응축․액화․정제해 식수나 생활용수로 쓴다. 조류는 농작물과 물고기의 양분, 광합성을 통한 산소 발생기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 자체로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도 있다. [퇴비] 대변의 분해 대변 또한 몇몇 박테리아를 활용해 물과 미네랄, 암모니아로 분해된다. 이 물질들은 영양분이 풍부한 비료로 전환돼 농작물과 물고기, 조류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본원리는 농촌에서 인분을 재활용하는 방식과 같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