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침·천식 "살구씨로 다스리세요"

기침 가라앉히고 가래 삭여 호흡 원활해져<br>베타카로틴 성분 폐·피부암등 억제 효과도<br>약간의 독성 함유 너무 많지 먹지는 말아야


살구는 사과ㆍ배ㆍ복숭아만큼 친숙한 과일은 아니다. 예전에는 흔했지만 요즘은 1년에 한번 먹을까 말까 할 정도이다. 맛 역시 훌륭한 것이 아니어서 어쩌다 생기면 먹겠지만 꼭 구해 먹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살구씨는 좀 다르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살구씨는 모든 씨앗들 중 약재로 가장 흔하고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로부터 인술을 베푸는 의사를 행림이라고 한 것은 바로 살구와 관련된 일화에서 나온 것이다. 중국 한나라 후관에 동봉이라는 의사가 있었다. 그는 독약을 먹고 죽은 지 사흘이나 되는 시체까지 살린 의사로 소문 났지만 환자를 치료하고도 치료비를 요구하지 않았다. 주면 받고 줄 형편이 못 되면 괜찮다고 위로하는 기인이었다. 다만 중환자에게는 살구나무 5그루를, 좀 약한 환자에게는 살구나무 1그루를 심으라고 권했는데 그렇게 하기를 수십 년. 어느덧 동네는 수십만 그루의 살구나무로 숲을 이루게 됐다. 엄청난 양의 살구가 열리자 그는 동네 사람들에게 곡식을 가져와 그 값어치만큼 살구를 따먹으라고 했는데, 이렇게 모아진 곡식으로 다시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주었다. 그래서 인술을 베푸는 의사를 살구나무 행자를 써서 행림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광동한방병원 김동웅(양-한방내과 전문의ㆍwww.ekwangdong.co.kr) 병원장은 “살구는 한방에서 행인이라고 하는데 기운를 낮추는 작용때문에 기침ㆍ천식을 다스리는데 효과적”이라면서 “살구씨에서 뽑아 낸 기름에는 아미그달린 성분이 있어 이것이 천식에 좋은 효과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동의보감에도 ‘살구씨는 기침이 북받쳐서 호흡곤란을 일으킬 때, 숨이 가쁘고 가래가 끓을 때 사용한다. 그리고 진해거담제 역할을 한다' 고 기록돼 있다. 이처럼 행인은 진해거담작용이 강해 각종 호흡기 질환에 제격이다. 끈적거리는 가래를 삭이며 기도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호흡을 편안하게 한다. 기침 인후통 편도선염에도 좋다. 살구씨에는 지방성분이 많이 함유돼 위를 편안하게 하며 대장운동을 촉진, 변비개선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진액이 말라 오는 노인성 변비와 산후변비에 좋다. 서양에서도 훌륭한 식품으로 정평이 나있다. 서양동화에 자주 등장하는 요정의 주식이 살구였으며 아폴로 13호에 싣고 가 우주탐사대의 건강식으로 사용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비타민A와 C가 많고 무기물인 칼륨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무중력 상태에서 우주 비행사들의 심장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살구의 효능과 성분이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살구씨에 있는 비타민 B17 성분은 항암효과가 있다. 오렌지처럼 비타민A의 전 단계 물질인 베타카로틴이 고농도로 함유돼 있어 폐암이나 피부암의 번식을 억제한다는 보고도 관심을 끈다. 최근에는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살구씨 가루나 기름을 이용한 피부미용법이 인기다. 살구씨는 미용효과와 함께 노화된 각질을 제거, 피부를 청결히 해주고 검게 탄 피부를 회복시킨다. 따라서 거칠고 건조한 피부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장기간 사용할 때에는 미백효과가 있어 거칠고 건성이거나 노화피부, 기미ㆍ주근깨 개선에 사용하면 좋다. 기미에는 행인을 가루로 내어 5g을 달걀 흰자 1개에 고루 개어 팩 재료를 만들고, 취침 전 얼굴에 바른다. 20~30분 후 미지근한 물로 깨끗이 닦아낸 후 화장 솜에 스킨로션을 바르고 영양 크림으로 마무리한다. 여드름도 살구씨 기름으로 마사지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행인은 생리통 생리불순 치료에도 쓰인다.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 살구씨를 용기에 담고 같은 양의 설탕을 넣은 후 행인 부피의 3배 가량 되는 양의 소주를 붓고 밀봉, 서늘한 곳에서 3개월 정도 익힌 후 1일 20cc 정도씩 공복에 마시면 증상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렇다고 행인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김 원장은 “행인은 약간의 독성을 함유하고 있어 너무 많이 복용하면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성인은 한번에 10알 이상 먹지 말고, 어린이는 3알 이상 먹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많이 먹을 경우 어지럼증 졸도 두통 오한 구토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사망하기도 한다. 행인에 중독 됐을 때는 살구나무 껍질이나 뿌리를 달여 마시면 해독이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