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中, 동중국해 공동개발 협의키로

정상회담 막판 조율, 오늘 오후 열릴 듯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간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마지막 의견조정이 양국외교경로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중국은 22일 오전 현재 회담에 응할지 여부를 밝히지 않았으나 일본측은 회담이 이날 오후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다. 일본 정부는 회담이 열릴 경우 반일시위로 악화된 양국 관계 개선의 상징으로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의 방일약속을 받아낸다는 계획이다. 고이즈미 총리는 아시아ㆍ아프리카회의(반둥회의) 50주년기념 정상회의 참석차 21일 인도네시아로 출발하기전 기자들에게 "어떤 나라와도 의견대립과 차이는 있었다"고 전제, "우호관계를 발전시키는게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정상회담을 하면 의미가 있다"고 말해 정상회담에 의욕을 보였다. 고이즈미 총리는 이어 "적대관계를 부추겨서는 플러스가 되지 않는다"고 말해 상호비난보다는 관계회복을 우선할 생각임을 내비쳤다. 마치무라 노부다카(町村信孝) 외상도 "반일시위 과정에서의 파괴행위에 대해 한마디 안할 수는 없다"면서도 정상회담을 양국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기회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 정부내에서는 중국이 반일시위 자제를 촉구하면서 불법시위 단속의지를 밝혔지만 중국 국내여론 등을 고려할 때 정상회담에서 후 주석이 일본의 사과와 배상요구를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오히려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靖國)신사참배 중지를 강력히 요구할 가능성도 크다는 분석이다. 한편 일본 정부는 동중국해 자원개발문제에 대해 중국이 제안한 공동개발협의에 응할 방침이라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은 지금까지 중국의 일방적인 개발에 반발, 공동개발 제의를 일축하고 협의이전에 우선 개발을 중단하라고 요구해왔다. 일본 정부가 뒤늦게 공동개발협의에 응하기로 한 것은 중국이 개발중단요구에 응하지 않는 것은 물론 부존자원 관련 자료제공도 거부한 채 독자개발을 계속하자 이대로 가면 일본이 불리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대신 동중국해 전체를 공동개발 대상으로 하는 것을 조건으로 제시한다는 계획이며 고이즈미 총리와 후진타오 주석간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를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는 원칙을 확인한 후 내달 열릴 실무협의에서 의제로 다루기로 했다. 그러나 공동개발협의가 시작되더라도 중국이 자국 대륙붕이 오키나와(沖繩)해구에까지 이어져 있다며 일본측이 제시한 중간수역 경계선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공동개발 해역설정과 이익배분 등을 놓고 난항이 예상된다. (도쿄=연합뉴스) 이해영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