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李대통령 "성장보다 물가안정이 시급"

외국인에 공직개방도 구체 언급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미국으로부터 시작된 위기상황으로 당장 서민생활에 피해가 닥치고 있다”며 “물가안정이 7% 성장이나 일자리 창출보다 시급해진 상황”이라며 새정부의 경제정책을 성장보다 물가안정에 무게를 둘 방침임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글로벌 시대를 맞아 공직사회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인재가 들어와야 한다”며 “특히 외국인 공무원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개방적으로 채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매일경제,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 일본경제신문(닛케이), 중국경제일보 등과 공동 회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특히 공직의 외국인 개방을 언급하며 “국가안보ㆍ보안 및 기밀과 큰 관계없는 투자유치ㆍ통상ㆍ산업ㆍ교육ㆍ문화ㆍ도시계획 분야에서 외국 인재들을 등용해 공무원 조직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구체적 개방 분야를 열거했다. 이 대통령은 공기업 민영화와 관련해 “민간이 더 잘할 수 있는 것은 과감히 역할을 주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민영화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해 총선 이후 증시 여건 등을 감안해 본격적으로 추진할 뜻을 내비쳤다. 또 ‘포이즌 필’ 등 기업경영권 보호장치 도입에 대해 “한국에서 특별히 조치를 취한다고 하기보다는 선진국 정도의 수준에 맞춰 나간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목전에 닥친 4ㆍ9 총선 전망에 대해서는 “뭐라고 얘기하든 선거 개입이 된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우리 국민들이 나를 대통령으로 뽑아줄 때보다 국제환경이 훨씬 더 나빠졌고 어떻게 하면 경제를 살리는 데 도움이 될지를 현명한 국민들이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남북관계에 대해서도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은 핵 문제와 연관시키지 않고 앞으로도 계속 해나갈 생각”이라며 “그러나 북한도 국군포로나 400여명 가까이 되는 납북 어부 송환문제에 대해 인도적 고려를 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오는 8월 베이징 올림픽 남북 단일팀 구성 문제 등에 대해서도 “남북 공동으로 참가하거나 응원하는 데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갖고 있다”며 “(성사 여부는) 전적으로 북한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삼성 특검과 관련해서도 “특검은 지난 정부부터 시작돼 시한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길게 가지 않을 것”이라며 “삼성으로선 국제활동에 좀 부정적 요소도 있지만 이 기회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