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8대 초선의원 10명중 9명 "대대적 국정 쇄신을"

한나라 소속 58% "전면적 인적쇄신도 필요"<br>한미FTA비준은 절반이 "9월 정기국회까지"


18대 국회 초선의원 10명 중 9명꼴로 갈수록 혼란스러운 국정을 수습하기 위해 대대적인 국정쇄신을 단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집권당인 한나라당 소속 초선 중 절반 이상이 ‘전면적인 인적쇄신’을 지지했다. 초선의원들은 또 주요 쟁점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문제에 대해 10명 중 5명꼴로 오는 9월 정기국회 때까지 비준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밝혀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자유무역협정(FTA) 교착국면을 해결할 가교 역할이 기대된다. 이 같은 결과는 서울경제가 지난 27~30일 초선의원 134명(응답자 90명, 무응답자 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국현안 긴급 전화 설문조사에서 나왔다. 정부의 바람직한 국정운영 방향에 대한 질문에 ‘인적쇄신과 컨트롤 타워의 재정비 등 전면적 국정쇄신을 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64.4%인 58명으로 가장 많았다. 또 ‘인적쇄신은 최소화하되 소통 시스템을 개선하는 제한적 국정쇄신을 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30%인 27명에 달했다. 이에 따라 내각ㆍ청와대 인사와 미국산 쇠고기 파문 등으로 혼란스러운 정국을 안정시키기 위한 국정쇄신론을 주장하는 초선의원이 94.4%에 달한 것으로 나타냈다. 반면 ‘국정쇄신보다는 현 시스템 정착’은 1.1%(1명), ‘기타’는 4.5%(4명)에 불과했다. 특히 여당 초선 응답자 57명 중 57.9%인 33명이‘전면적인 인적쇄신’을 주장했다. 초선의원들은 이와 함께 한미 FTA 비준안 처리시기에 대해 ‘늦어도 9월 정기국회까지는 처리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50%인 4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피해대책 및 보완입법 마련 후 연말께 처리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33.3%인 30명이었다. 결국 한미 FTA 비준안을 연내 처리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83.3%인 75명이었다. 반면 ‘시기에 구애 받지 않고 미국 의회 동향에 맞춰 처리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12.3%인 11명, ‘FTA 비준에 반대한다’는 응답자는 3.3%인 3명, ‘FTA 재협상 후 처리해야 한다 ’는 응답자는 1명이었다. 한편 이번 설문에서 개인 사정 등으로 전화연결이 이뤄지지 않았거나 민감한 사항이라며 응하지 않은 의원은 44명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