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北ㆍ中 회동, 6자 회담 복귀 신호 보낼까

설 이후 北中, 고위급 상호방문 추진할 듯

설 연휴 이후가 6자 회담 재개 여부를 타진할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북ㆍ중 양국은 연례 인사교류 형식으로 설 연휴 뒤 곧바로 고위급 상호방문을 추진할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북ㆍ중의 고위급 상호 방문은 미국과 중국의 정상회담 이후 모색 중인 대화국면 전환, 그리고 남북간 군사회담 추진 움직임과 맞물린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정부의 소식통도 이날 “설 이후에는 북ㆍ중 양국 지도층이 연초에 상호 인사하는 관례에 따라 중국 공산당 고위간부가 방북 할 가능성이 크고, 북한 역시 당 또는 외무성 고위직 인사가 베이징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상호방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6자 회담 재개와 남북대화 등 당면현안에 대한 양국 고위층의 긴밀한 조율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중국 측에서는 왕자루이(王家瑞)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예방할 것으로 관측되고, 북한측에서는 6자 회담을 담당하고 있는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이나 리용호 외무성 부상 등이 베이징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왕 부장이 방북 할 경우 김 위원장에게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친서를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북ㆍ중간에 6자 회담 재개문제가 논의될 경우 중국은 미ㆍ중 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면서 북한에 대해 일정한 비핵화 조치를 먼저 단행할 것을 주문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 북한은 비핵화 조치의 수위와 일정을 놓고 중국측과 조율을 시도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지난달초 다이빙궈(戴秉國)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이 방북 했을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중국측의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수용요구에 대해 “알겠다”는 뜻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를 구체화하는 내용이 논의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이와 함께 북한이 최근 관련국들에게 대규모 식량지원을 다급하게 요청하고 있는 정황을 고려할 때 북ㆍ중간에는 중국의 대북 경제지원 문제를 놓고 심도 있는 논의가 오갈 가능성이 있다는 게 외교가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