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건설시장에 돈 돌게 해 업체 동반부실 차단"

■ 이르면 연말에 PF·건설사 종합대책 나온다<br>금융당국, 연말까지 1,300여 PF사업장 실태 조사<br>선별지원 통해 미분양 해소시켜 건설업 연착륙 유도<br>건설사 "버티다 불익 받을라" 대주단 가입 분위기 확산


"건설시장에 돈 돌게 해 업체 동반부실 차단" ■ 이르면 연말에 PF·건설사 종합대책 나온다금융당국, 연말까지 1,300여 PF사업장 실태 조사선별지원 통해 미분양 해소시켜 건설업 연착륙 유도24개사, 은행과 사전교감… 대부분 가입 승인될듯 이종배 기자 ljb@sed.co.kr 우승호 기자 derrida@sed.co.kr 김영필 기자 susopa@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정부가 이르면 연말쯤 금융권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건설업체들의 동반 부실을 막고 건설업을 연착륙시키기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는다. 건설사들을 대주단에 가입시켜 유동성을 지원하는 한편 PF사업장별로 선별적인 지원을 통해 미완성 사업장을 완공하고 분양을 성사시켜 건설시장 전체에 자금이 돌게 하겠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이를 위해 이번주 중 저축은행 PF 부실과 관련된 실태조사 결과와 대책을 발표한 뒤 은행권 PF조사가 마무리되는 올 연말쯤 건설사와 금융회사들을 위한 종합대책을 제시할 예정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과 은행 PF는 결국 건설사와 연결돼 있는 만큼 PF와 건설사를 포괄한 전반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은행이 개별 건설사에 대한 평가를 끝내고 1,300여개 은행 PF사업장에 대한 실태조사가 마무리되는 연말쯤이면 건설업과 은행업 PF 전반에 대한 대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1차로 24개 건설사 대주단 가입, 유동성 지원=정부가 직ㆍ간접적으로 건설사들의 대주단 가입을 압박했지만 24개 건설사가 대주단에 가입하는 데 그쳤다. 10대 대형 건설사들은 24일까지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은행과 사전교감이 이뤄져 대부분 가입승인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 우려했던 10개보다는 많지만 은행권에서 기대했던 50개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치다. 중견 건설사들은 마감시간까지 눈치작전을 펼치며 부실업체로 낙인 찍히거나 경영권에 간섭을 받을 것을 우려해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형사들은 자금사정에 여유가 있는 상황에서 신인도 하락과 해외사업 차질을 우려해 나서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주단은 "24개 건설사의 가입을 계기로 더 많은 곳이 대주단에 가입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경영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는 만큼 서둘러 협약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대주단이 정부 압력과 건설사의 반발 사이에서 눈치만 보면서 소신 있게 나서지 못하고 있다"며 "건설업 정상화에 대한 의지와 원칙을 의심 받으면서 '대주단 무용론'을 자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 PF사업장 1,300개 전수조사 진행 중=금융감독당국은 은행들이 보유한 1,300개 PF사업장에 대한 서면검사를 진행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중 전체 사업장의 12%선인 150여개 사업장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선다. 금융감독원의 한 관계자는 "은행이 보유 중인 1,300여개 PF에 대한 자료수집을 끝내고 실태조사할 사업장을 선별 중"이라며 "분양이 완료된 곳 등은 실태조사가 필요 없는 만큼 저축은행처럼 전체 사업장의 12%선에서 결정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감독당국과 은행들은 PF사업장에 대한 부실이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한다. 감독당국의 한 관계자는 "은행들은 시행사가 토지를 매입한 후 시공사가 결정되면 시공사의 신용보강을 받고 대출을 하기 때문에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적다"며 "연말쯤이면 실태조사가 완료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건설사ㆍPF사업장에 돈이 돌게 한다=건설사 유동성 부족, PF사업장 공사 중단과 은행ㆍ저축은행ㆍ캐피털사의 잠재부실 우려는 동전의 양면이다. 한 축이 무너지면 다른 쪽도 충격을 받고 실물경제로까지 파급된다. 한 시중은행 여신담당부장은 "캐피털사들이 부동산 PF에 돈이 묶이면서 자동차 할부금융이 위축됐다"며 "건설사ㆍ부동산 PF의 부실이 캐피털사를 거쳐 자동차 업체와 관련 협력업체의 위기로까지 연결되는 등 순식간에 실물로 확산될 수 있어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건설사에 신규자금을 지원하고, PF사업장 중 선별적으로 공사를 완공시켜 분양을 성사시키면 막혔던 시중자금이 건설사로 흘러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건설사들은 신규 사업장에 대한 공사도 시작할 수 있고, 이는 경기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