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원·엔 환율 횡보하거나 상승 반전"

일본 저금리 탈피, 한국 경상수지 흑자 감소로

삼성경제연구소는 최근 급락하며 경제 불안의주요 요인으로 부상한 원.엔 환율이 향후 안정을 찾고 상승 반전을 시도할 것으로전망했다. 이 연구소의 이계화 수석연구원은 4일 '엔화 약세의 원인과 전망' 보고서에서 "일본과 주요 수출종목에서 경합하는 데다 일본으로부터의 차입 규모도 늘어 원.엔환율 동향은 우리 경제 초미의 관심사"라며 "2005년 11월 이후 원.엔 환율이 100엔당 800원대로 하락했으나 앞으로는 횡보하거나 소폭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4년 연평균 1천60원 수준이던 원.엔 환율은 2005년 평균 930원 수준으로 낮아지더니 올해 2월에는 808원까지 급락했다. 이 같은 엔화 약세는 미국이 2004년 6월 이후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린 반면 일본은 계속 '제로 금리'를 유지하면서 금리 격차가 커져 엔-캐리 트레이드(일본에서싼 값에 돈을 빌려 다른 시장에 투자하는 것)와 같은 형태의 대규모 자금 유출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작년에만 일본은 경상수지 흑자의 80% 수준에 해당하는 1천267억원의 자본수지적자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규모는 줄었으나 지난해 자본수지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경상수지 역시 166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하면서 자금 유입과 더불어 원화가 달러 등에 대해 강세를 보여왔다. 이 결과 2004년말 이후 최근까지 원화는 달러대비 6% 가치가 높아진 반면 엔화는 오히려 달러대비 13% 절하됨에 따라 원.엔 환율이 크게 하락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앞으로 일본이 경제 회복세와 함께 금리 인상에 나서는 반면 미국은 금리 인상 행진을 멈출 가능성이 높아 엔-캐리 자금 축소와 함께 엔화가 강세로 돌아설 여지가 많다고 이 연구원은 진단했다. 이에 비해 원화의 경우 올해 경상수지 흑자폭 축소 등 약세 요인이 많아 원.엔환율의 추가 하락(엔화대비 원화 강세)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말 삼성경제연구소는 올해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 전망치를 기존 90억달러에서 32억달러로 대폭 줄인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