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증시폭락 전문가진단] "첨단주 거품빠지면 다시 상승"

다음은 월스트리트저널이 5일 소개한 월가 증시전문가들의 진단과 전망을 요약한 것이다.바튼 빅스(모건 스탠리 딘 위터 국제담당 수석 투자전략가)= 이번 폭락은 「신년의 발작적 공포」라고 할 수 있다. 증시는 이번 폭락세에서 벗어나 다시 상승하겠지만 그러나 그것이 마지막 상승이 될 수 있다. 기술주 중심의 호황시장은 2차대전 이후 4차례나 있었으며 그때마다 막판에는 단기적인 급락보다는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나는 일반적으로 신중하고 불황을 염두에 둔 전망을 많이 해왔지만 이번이 그런 끝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으며 투자자들이 지난 5년간의 경험을 통해 배운 것 처럼 이번에도 주가가 크게 떨어진 기회를 이용해 주식매입에 나설 것으로 보고있다. 랠프 아캄포라(프루덴셜증권 투자전략가)= 주식 투자자라면 이번 폭락세가 끝이 아니기 때문에 강력히 대처해야 한다. 이번 폭락은 호황시장내에서의 조정일 뿐이다. 투자분석가들도 이를 심각한 것으로 평가하지 않고있다. 이번 폭락으로 타격을 받을 수도 있지만 호황시장이 끝난 것은 아니다. 증시에서는 5∼10%의 조정은 언제든지 맞닥뜨릴 수 있는 것이다. 조지 밴더하이든(피델러티 인베스트먼트 펀드매니저)= 첨단 기술주는 작년 12월에 이미 절정에 달했다. 증시 역사로 볼 때 거품은 보통 12월에 최고 절정에 도달한다. 기술주 붐은 상황이 급격하게 돌변하며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 그런 것일 수 있다. 리언 쿠퍼먼(오메가 헤지펀드 회장)= 주식시장의 조정은 상당기간 지연돼 왔으며 주가 폭락은 조정이 가장 늦은 분야에서 일어났다. 상당수 주식은 실제 가치에 맞게 주가가 형성돼 있으나 75개 기업은 고평가돼 있으며 모두가 이를 알고있다. 미국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지 않는 한 불황시장이 찾아올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 에릭 구스타프슨(스테인 로 그로스 스톡 펀드 매니저)= 이번 폭락이 호황시장의 끝은 절대로 아니다. 투자자들은 작년 말에 얻은 부를 보전하기 위해 주식을 매각하고 있으며 주식시장은 기술분야 일부 주식의 과도한 상승을 조정하고 있을 뿐이다. 이번 폭락장으로 투기꾼은 상당한 손해를 봤겠지만 장기적 투자전략을가진 투자자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마크 홀로웨스코(템플턴 펀드 매니저)= 세계가 갖고있는 가장 큰 위험중의 하나는 미국 주식시장이다. 상당한 측면에서 미증시는 과대평가가 가장 심하며 정상보다 45∼50% 이상 높게 주가가 형성돼 있다. 그러나 이런 과대평가는 주로 시장 주도종목에 집중돼있으며 비인기 종목에서는 가치가 제대로 반영된 주식이 많이 있다. /뉴욕=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