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대운하에 '토지 경매'도 들썩

밀양·구미·칠곡등 화물터미널 예정지 낙찰가율 급상승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대운하 예정지의 땅값이 들썩거릴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일부 예정지의 토지 경매 시장에서도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상승하는 등 투자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10일 법원경매 정보업체인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한반도 대운하의 핵심인 경부운하 터미널 예정지를 중심으로 최근 토지 경매의 낙찰가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경남 밀양시의 경우 대통령 선거가 있던 지난해 12월 한달간 낙찰된 54건의 평균 낙찰가율이 121.32%를 기록, 11월 평균치인 100.53%에 비해 높아졌다. 경남 창녕시도 지난해 12월 평균 낙찰가율이 90.96%로 전 달의 81.92%보다 9%포인트가량 높아졌다. 경북 지역도 구미시가 11월 69.1%에서 12월 93.76%로, 고령군은 11월 87.61%에서 12월 108.6%로 각각 상승했다. 칠곡군의 경우엔 11월 78.49%에서 140.01%로 큰 폭으로 뛰었다. 수도권에서는 파주시의 평균 낙찰가율이 11월 81.93%에서 100.05%로 높아졌고 고양시(70.72%→93.77%), 남양주시(43.13%→86.93%)도 낙찰가율이 올라갔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대운하의 화물터미널이 들어서면 주변 부동산 개발이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투자자들이 경매에서 비싼 값을 써내 낙찰가율이 상승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경쟁이 몰리면서 감정가의 세배가 넘는 가격에 낙찰된 사례도 발생했다. 법원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경남 밀양 삼랑진읍의 한 임야는 지난달 31일 총 8명이 입찰에 참여해 감정가(688만8,000원)의 379%인 2,610만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또 지난달 24일 밀양 하남읍의 밭은 감정가의 164%인 3억6,300만원에 낙찰됐고, 충북 충주 가금면의 임야는 감정가보다 600만원(낙찰가율 132%) 이상 비싼 2,655만원에 팔렸다. 그러나 이들 지역이 전적으로 대운하에 따른 기대감 때문에 올랐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파주ㆍ남양주시의 경우 대운하도 있지만 신도시ㆍ택지개발지구 등의 재료도 있고 대표적인 대운하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충주ㆍ문경ㆍ여주시 등은 오히려 지난달의 토지 낙찰가율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이영진 디지털태인 이사는 “낙찰가율은 해당 월에 어떤 물건이 나오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다”며 “대운하 효과를 무시할 순 없겠지만 투자자들은 상황을 좀더 지켜보고 신중히 접근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