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투자 환경조성위해 규제 완화 선행돼야"

■인터뷰 이한억 직접판매공제조합 이사장

[네트워크마케팅 유통혁명 선도한다]"재투자 환경조성위해 규제 완화 선행돼야" ■인터뷰 이한억 직접판매공제조합 이사장 “이제는 네트워크마케팅 산업에 대한 규제를 좀 풀어야 할 때입니다” 이한억(사진) 직접판매공제조합 이사장은 “네트워크마케팅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관련 업계가 교육, 제품개발 등에 재투자를 할 수 있는 기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규제 완화가 반드시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직접판매공제조합은 지난 2002년 한국암웨이, 앨트웰, 하이리빙 등 17개 회사가 358억원을 출자해 설립한 기관으로 현재는 60여개 업체가 회원사로 등록돼 있다. 판매원 및 소비자 보호, 조합사들에 대한 자금융자, 유망중소ㆍ벤처기업 제품 판로개척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는 “현재 네트워크마케팅 업계에서 이익을 재투자하는 기업은 많지 않은데 이는 관련 규제가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특히 판매원들의 피해를 줄이려면 법률규정 등을 교육할 수 있는 교육시설을 반드시 설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현행 후원수당 35% 제한규정과 130만원 가격상한 규정 등도 공청회 등을 통해 적정선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이사장은 “네트워크마케팅 업체를 설립하면 반드시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고 조합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한 이후 경쟁력없는 기업들은 모두 도태됐으며 불법 다단계 회사가 발 붙일 곳이 없어졌다”면서 “조합에 가입한 회사들은 혹시 부도가 나더라도 판매원은 500만원, 소비자는 200만원, 개별제품은 130만원 내에서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믿어도 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네트워크마케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많이 개선됐지만, 아직도 색안경을 끼고 업계를 보는 사람들이 많아 안타깝다고 이 이사장은 지적했다. 그는 해결책으로 경제주체별로 각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업계는 품질 좋은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하면서 환불정책 등을 활용해 소비자를 적극 보호하고, 공제조합과 협회는 학술적인 노력과 교육에 힘써야 한다는 것. 그는 네트워크마케팅에 대한 언론의 무조건적인 배타성향도 고쳐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네트워크마케팅산업의 미래에 대해 그는 “유통단계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직접판매 형태의 유통은 미래형 유통산업”이라며 “네트워크마케팅은 그 최전선에 서있는 산업으로 시장이 안정되고, 관련 규제가 풀린다면 우리나라의 네트워크마케팅 시장은 급속히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입력시간 : 2004-08-30 16:2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