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관심끄는 대선후의 주가

대선 판도가 이회창 한나라당 대통령후보와 노무현 민주당 대통령후보의 양자구도로 압축되면서 대선의 증시영향에 대한 여의도 증권가의 의견이 분분하다. 급기야 한 증권사가 두 후보간 당선에 따른 수혜업종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놓았는데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변수는 경제정책이 아닌 대북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후보가 당선되면 현 정부의 대북 유화정책에 대한 손질이 불가피해져 방위산업주가 부각될 가능성이 높고 노 후보가 당선될 경우 '햇볕정책'이 지속되면서 대북경협 관련주가 관심을 끌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외국계인 모건스탠리도 재벌정책을 제외한 두 후보의 경제정책 공약은 많은 유사성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마디로 두 사람의 경제정책에 큰 차이가 없어 누가 당선되든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대동소이하다는 게 증시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우리와 달리 미국의 경우 선거를 앞두고 공화당과 민주당 가운데 어느 쪽이 승리하느냐에 따라 수혜업종이 명확하게 갈리는 특성을 보이곤 한다. 지난달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승리하자 에너지ㆍ제약ㆍ방위산업ㆍ담배ㆍ산업설비 등 이른바 '공화당 수혜업종'이 오름세를 보인 적이 있다. 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얼마 전 후보별 증시영향분석을 시도했지만 곧 포기하고 말았다고 털어놓았다. 각 후보의 경제정책이나 증시대책이 총론은 있지만 각론은 없어 비교 자체가 불가능한데다 우리 경제정책이 원칙보다 사람에 더 좌우되는 경향이 있어 경제팀에 누가 배치되느냐에 증시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과거 경험을 보면 국내증시는 대선을 앞두고 정권 말기의 레임덕 현상이 부각되며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다 선거 후 상승세를 타는 흐름을 보였다. 누가 당선되든 증시의 가장 큰 악재인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때문이다. 대선 후보가 소신 있는 경제정책을 마련해 유권자를 설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증시가 반응하는 시대가 빨리 오기를 기대해본다. 정치도 경제도 다시 한번 '도약'했다는 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재용<증권부>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