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 월마트와 이마트

이효영 <생활산업부 차장>

포춘지 선정 세계 500대기업에 3년 연속 1위를 지켜온 월마트가 반(反)월마트 캠페인으로 고전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월마트는 무노조 정책, 저임금, 성차별 등으로 인해 미국 공공노조,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매장 확대를 반대하는 협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반월마트 시민단체 ‘파이브스톤즈’는 최근 뉴욕타임스에 광고를 게재, “월마트의 저임금과 열악한 복지 때문에 직원들은 저소득층 의료보험과 주택임대 프로그램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꼬집었다. 미국 산별노조총연맹(AFL-CIO)도 노조가 없는 월마트를 기회가 있을 때마다 비난하고 있다. 월마트가 이 같은 역풍에 직면한 것에는 무노조정책이 단초를 제공했다. 월마트는 올초 캐나다 퀘벡주 점포에서 노조 결성 움직임을 구체화하자 경영난을 이유로 5월 초 이 점포를 폐쇄하기로 결정했으며 이에 앞서 텍사스주 점포에서 정육 부문 직원들이 노조 결성을 모색하자 아예 해당 부문을 아웃소싱하기로 했다. 공교롭게도 국내 할인점 1위업체인 신세계 이마트에도 최근 들어 반대 여론의 조짐이 심심찮게 일고 있다. 무노조 경영을 표방해온 이마트는 지난해 말 수지점에서 비정규직 계산원들이 노조 설립을 시도하다 마찰을 빚었다. 또 전국 70호점을 넘어서면서 인구 10만명 미만의 소도시에까지 진출을 추진하다 보니 지방 중소상인들의 반발이 만만찮다. 심지어 이마트가 진출을 타진한 강원도 태백에서는 지역주민들과 상인들이 서로 찬성과 반대 의사를 표명, 대립하는가 하면 제주 서귀포에서는 주민 찬반투표까지 거론되는 등 지역민 분열 현상까지 초래할 정도. 대형 할인점의 등장은 그간 순기능이 더한층 강조돼왔다. 미국에서도 한국에서도 할인점은 가격을 낮춰 물가안정에 기여하고 저가격 상품의 이용기회를 확대한 공로가 인정됐다. 새로운 매장을 열 때마다 창출해온 신규 일자리도 빠뜨릴 수 없는 할인점의 공적이다. 그러나 아무리 시장경제의 원칙을 들먹이더라도 회사 덩치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에 따르는 윤리와 책임도 무거워지는 법이다. 글로벌기업으로 도약을 꿈꾸는 이마트가 세계 유통업계의 벤치마킹 대상인 월마트의 시행착오는 피해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