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요르단, 핵 개발 기정사실화… 美 딜레마

'비군사적 사용' 지원 명분 불구 중동국가 반발 거세

요르단이 핵 개발을 기정 사실화 함에 따라 미국의 핵 확산 방지 노력에 찬물을 끼얹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 미국의 동맹국인 요르단이 비군사적 용도로 핵 에너지를 사용할 이라고 밝혔기 때문에 미국이 핵 기술을 지원할 명분이 생겼지만 이란이나 이스라엘 등 다른 중동국가의 핵 개발을 부추길 우려가 있다는 게 미국의 고민"이라 고 14일 보도했다. 미국과 요르단은 현재 '핵 관련 부품과 기술 이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핵 협력 협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다른 중동국가들의 거센 반발과 군사 목적으로의 전용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요르단이 핵 에너지 개발에 열을 올리는 것은 에너지의 95%를 석유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르단은 수도 암만 외곽 사와카(Sawaqa) 지역에서 대규모 우라늄 광산이 발견되자 오는 2030년 까지 모두 4기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 원자력 발전 의존도를 30%로 높이는 동시에 중동 지역에 대한 원자력 발전 연료 공급 및 수출 허브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은 요르단의 계획이 이란과 이스라엘의 핵무기 개발 경쟁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 달 초 UN에서 이란에 대한 제제 방안을 통과시킨 미국으로서는 이중잣대를 들이댄다는 비판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은 아랍에미리트(UAE)와 맺었던 협상 내용 그대로 자국에서 우라늄을 생산하지 말고 해외에서 수입해 쓰라고 조건을 달고 있다. 하지만 핵비확산조약(NPT) 비준국인 요르단으로서는 핵연료 생산이 당연한 권리이기 때문에 쉽게 포기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