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계자산 '부동산 쏠림' 심각하다

'부동산 불패신화'로 IMF후 심화…주택시장 거품 붕괴시 파장클듯

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편중돼 있어 주택시장 거품이 꺼질 경우 그 충격이 상당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 산하 금융경제연구원이 17일 발표한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선택 결정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의 부동산 등 금융 외 자산 비중은 80%를 넘는 반면 예금 등 금융자산은 2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부동산 쏠림’ 현상은 외환위기 이후 더욱 뚜렷해져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이 지난 93년 76%에서 2001년에는 83%까지 높아졌다. 비금융자산에는 주거용 주택 자산만 포함돼 토지ㆍ임야 등 비주거용 자산까지 합치면 그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주거용 주택과 자동차 등 내구재까지 합친 비금융자산이 60% 내외인 미국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가계 자산이 부동산에 집중돼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국민들 사이에 퍼져 있는 ‘부동산 불패신화’라는 지적이다. 주택가격의 지속적인 상승기대가 이 같은 기형적인 자산 포트폴리오를 낳았다는 설명. 여기에 국내 자금운용시장이 아직 무르익지 않은 탓에 자금운용처가 마땅하지 않다는 점도 이 같은 현상을 부추겼다고 금융경제연구원은 밝혔다. 또 금융자산 중에서도 예금 등 안전자산에만 몰리고 있어 주식 등 투자자산은 소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금융자산 가운데 예금의 비중은 93년 55%에서 매년 커지면서 2001년 74%로 높아진 반면 보험은 24%에서 16%로, 주식은 5%에서 4%로 낮아졌다. 금융자산 가운데 주식과 투신 등 위험 금융자산의 비중은 6.8%로 일본(8.0%)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독일(20.1%), 미국(43.0%)에 비해서는 매우 낮다. 유경원 금융경제연구원 과장은 “가계의 자산이 주택 위주로 구성됨에 따라 가계 자산상태가 부동산시장의 부침에 민감하게 반응할 뿐 아니라 노후대비에도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며 “역모기지론의 확충을 통해 주택자산의 유동화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유 과장은 이와 함께 “현재 예금에만 집중된 금융시장을 골고루 발전시켜야 한다”며 예금보유 비율이 높은 가계의 주식시장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기업의 투명성을 높이고 투자자 교육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할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