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방선거, 민노총 "민노당 지지" 한노총 "제각각"

兩노총 엇갈린 행보 눈길

‘민주노총은 단일정당 지지, 한국노총은 천차만별.’ 지방선거 운동이 본격 시작됐지만 민주노총ㆍ한국노총 등 양 노총이 서로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민주노총은 민주노동당 지지를 공식 선언하고 수천명의 ‘선거실천단’을 구성, 이번 지방선거에 조직적ㆍ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간다고 선언했다. 반면 한국노총은 중앙 차원의 선거운동 지침을 제시하지 않고 지역본부ㆍ연맹별로 지지정당과 지지후보를 독자적으로 정하기로 했다. 민주노총이 조직적으로 일사불란하게 대처하는 반면 한국노총은 ‘무지갯빛 정치활동’에 나서기로 한 셈이다. 민주노총은 지난 18일 서울 영등포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5ㆍ31 지방선거에 203명의 조합원이 민주노동당 후보로 나선다고 밝혔다. 준호 위원장은 “이번 선거에서 민주노동당을 적극 지지하며 과반수 이상의 민주노총 후보 당선을 위해 전국을 돌며 선거운동에 결합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5,000명을 목표로 정치실천단을 조직, 광역단체 후보자 후원사업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또 근로자 1인당 연간 10만원까지 정치후원금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점을 활용, 50억원을 목표로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정치자금 모금에도 나설 계획이다. 반면 한국노총은 지난달 28일 중앙정치위원회를 열어 지역본부ㆍ연맹별로 정치방침을 정하기로 결정했다. 이 방침에 따라 한국노총 산하 금속노련은 4일 민주노동당 지지를 선언하고 중앙간부들이 집단으로 입당했으며 전택노련은 열린우리당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한국노총 경기본부와 울산본부는 각각 한나라당 후보인 김문수 및 박맹우 후보 지지를 결의했다. 한국노총 출신 후보들의 출마 정당도 제각각이다. 19일 한국노총 집계에 따르면 이번 선거에 나서는 전현직 조합원 54명의 소속 정당은 열린우리당ㆍ한나라당ㆍ민주당ㆍ민주노동당ㆍ국민중심당이 모두 포함돼 있다. 2004년 총선에서 독자 정당을 건립하고 후보를 내보낼 정도로 정치활동에 적극적이었던 한국노총이 이번 선거에서 일사불란한 단일 정치방침을 내지 못하는 것은 재정문제 때문이다. 한국노총 지역본부의 경우 예산의 절반 이상을 지방자치단체 지원금에 의존하고 있어 지역별로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지원해야 선거 이후에도 안정적인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 지지후보를 정하는 데 있어 공약이나 정당보다는 당선가능성에 무게를 둘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단일 정치방침을 내세우기에는 현실적인 문제가 많다”며 “내년 대선에서는 단일한 방침을 조합원들에게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