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푸틴, EU 본딴 경제공동체 추진

옛 소련국가 규합 2013년까지 '유라시아 공동체' 출범<br>카자흐스탄 총리 등과 공동통화 방안도 논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가 옛 소련 국가들을 규합해 유럽연합(EU)과 유사한 경제공동체를 출범시키려 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푸틴 총리가 최근 열린 모스크바 정상회의에서 벨라루스ㆍ카자흐스탄의 총리들과 오는 2013년까지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를 출범시키는 것을 목표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했다고 17일 보도했다. 이미 지난해 관세동맹을 통해 상호 관세와 무역장벽을 없앤 이들 3국은 이번 회동에서 단순한 경제통합을 넘어 유로화와 같은 공동 통화를 만드는 방안까지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푸틴은 정상회의를 마친 뒤 "유라시아 국가들의 (경제적) 통합은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안"임을 강조하며 "이는 옛 소련이 붕괴된 이후 처음으로 자연적인 경제권과 무역관계를 회복시키는 진정한 첫걸음이 되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들 3국은 이미 지난해 자유무역협정(FTA)보다 진전된 형태의 경제통합인 관세동맹을 통해 3국간 교역에서 관세와 무역 장벽을 없앤 바 있다. 또 내년 1월에는 '공동 경제 구역'이라는 이름으로 통합 수준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3국간 '공동 경제 구역'이 출범할 경우 이는 20년 전에 해체된 옛 소련 인구의 60%에 해당하는 1억6,500만명의 인구를 가진 단일시장을 형성하게 된다고 FT는 설명했다. 이 같은 계획이 성사될 경우 푸틴은 궁극적으로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와 EU간 FTA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러시아는 지난 18년간 FTA 체결을 위해 노력해왔으나 아직까지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 하자만 푸틴은 지난해 11월 독일에서 "리스본에서 블라디보스톡까지 연결하는 조화로운 경제 공동체 건설"을 언급하며 FTA 체결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옛 소련 국가의 경제통합이라는 그의 계획은 갑작스럽게 나온 게 아니다. 푸틴은 이미 지난 2000년에 옛 소련 소속 12개국 중 6개 나라와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창설을 논의하기로 협정을 맺었으며, 2009년부터는 러시아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벨라루스에 압박을 가해 왔다.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가 출범할 경우 러시아는 경제적 이득 외에 정치ㆍ외교적으로 상당한 이점을 누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옛 소련 연방 국가 중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한 국가인 카자흐스탄을 통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러시아ㆍ벨라루스ㆍ카자흐스탄이 주도하고 있는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에는 주변국인 키르기스스탄ㆍ타지키스탄도 참여를 희망하고 있으며, 지난 몇 년간 EU 가입을 추진해 온 우크라이나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