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독초 - 약초, 닮아도 너~무 닮았네

농진청, 산약초 구별법 소개

왼쪽부터 곰취, 동의나물

곰취와 동의나물, 산마늘과 박새는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성질은 전혀 다르다. 곰취와 산마늘은 먹을 수 있지만 동의나물과 박새는 독초여서 주의를 해야한다.

농촌진흥청은 2일 매년 발생하는 독초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혼동하기 쉬운 약초와 독초의 구별법을 소개했다. 친환경, 건강 기능성 약초에 대한 관심이 독초를 산나물로 잘못 알고 먹는 사고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많이 착각하는 식물은 곰취와 동의나물, 산마늘과 박새, 은방울꽃, 원추리와 여로 등이 있다.

곰취는 잎이 크고 향이 좋아 쌈으로 인기가 많다. 이와 비슷하게 생긴 동의나물은 독성이 강해 잘못 알고 먹으면 탈이 나는 경우가 있다.


구별이 쉽진 않지만, 곰취는 잎이 부드럽고 가는 털이 있으며, 동의나물은 잎이 두껍고 털이 없어 광택이 난다는 점이 다르다. 또 곰취는 취나물 특유의 향이 있지만 동의나물은 향이 없다.

관련기사



항암 효과가 높다고 알려진 산마늘은 명의나물로도 잘 알려졌으며 맛과 향이 좋아 쌈으로 많이 이용한다. 이 산마늘은 독성이 있는 박새나 은방울꽃과 비슷하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산마늘은 잎이 2~3장 나는 데 비해 박새는 줄기가 곧게 서며 잎이 줄기를 감싸듯 여러 장이 촘촘히 어긋나게 달린다. 은방울꽃은 꽃이 줄기에 방울방울 맺힌다.

연한 잎을 식용하는 비비추도 산마늘과 비슷한데 잎의 가장자리에 가늘게 잎 주름이 있다.

원추리는 어린잎의 식감이 부드럽고 맛이 좋아 데쳐 먹는다. 충분히 데쳐 먹으면 안전하지만, 어린잎이 아니면 먹지 않아야 한다. 원추리와 혼동하기 쉬운 독초는 여로다. 어린잎은 전문가도 구분이 쉽지 않아 특히 조심해야 한다.

원추리는 잎에 털이나 주름이 없이 미끈하지만, 여로는 잎에 털이 많고 잎맥 사이에 주름이 나 있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독초 구분 시 식물체의 잎이나 줄기를 꺾어 냄새를 맡았을 때 역하다면 일단 독초를 의심하는 것이 좋다"며 "또 벌레가 먹는 식물은 사람이 먹어도 해가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벌레가 갉아 먹은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