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ISTI의 과학향기] 무자년, 쥐에 관한 모든것

감각기관 발달 예지력·생존력 뛰어나<br>1년에 5번 새끼낳아 번식력도 왕성


2008년은 무자(戊子)년, 쥐의 해다. 작년 돼지의 해가 복덩이의 출산을 꿈꾸는 '출산의 해'라면, 올해 쥐의 해는 '다복(多福)의 해'라고 한다. 쥐는 남극과 뉴질랜드를 제외한 지구 전 지역에 살고 있는 설치류로, 사람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설치류는 쥐목 포유류의 총칭이다. 이는 포유류 가운데 가장 큰 목으로 포유류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쥐는 덩치가 작지만 번식력이 왕성하다. 집쥐의 임신기간은 20~21일이고, 출산 뒤 몇 시간만 지나면 금방 발정하여 교미할 수 있다. 보통 1년에 5회 정도 새끼를 낳는데, 한배에 7~10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다. 만일 연간 5회 10마리씩 암수 비율을 똑같이 낳는다고 가정하면 이론적으로 2년 뒤에는 5,000만 마리로 불어난다는 계산이 나온다. 생존력 또한 대단하다. 비록 시각은 약하나 촉각, 청각, 후각, 미각이 발달돼 야행성으로 활동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촉각을 담당하는 긴 수염, 무엇이든 잘 갉아 먹을 수 있는 앞니, 예민한 감각기관으로 환경적응력이 뛰어나다. 행동이 민첩하고 예지력도 뛰어나 사람 이상의 생존 능력을 갖고 있다. 쥐는 해일과 지진, 산사태 등 지각의 변동 상황을 미리 알아차리는 민감한 예지력이 있다. 그래서 지진이나 해일의 조짐이 있으면 쥐가 떼를 지어 피난을 가거나 배 속에 있던 쥐들이 배 밖으로 튀어나오는 등 크게 동요하는 모습을 보인다. 쥐는 1950년 미군의 엔게비섬의 원자폭탄 실험에서도 유일하게 살아남았고, 최근 대만에 지진이 일어날 때도 가장 먼저 민감하게 반응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쥐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다. 농작물을 해치고 곡식을 훔쳐 먹는 해로운 동물에다 식중독, 흑사병, 유행성 출혈열 같은 갖가지 병을 옮긴다고 밝혀져 더 몹쓸 동물로 돼 버린 것 같다. 하지만 쥐가 인간에게 해로움만 가져다 주는 건 아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100위 안의 약품은 모두 쥐 연구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종종 뉴스에 등장하는 '슈퍼쥐'도 쥐 연구 과정에서 탄생한다. 최근에 등장한 '슈퍼쥐'에는 겁 없는 생쥐, 강철 체력의 생쥐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