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비강남권 아파트 경매시장서 인기 '최고'

지지옥션, 1분기 경매 낙찰가율 분석 결과

아파트 경매시장이 차츰 살아나고 있는 가운데올들어 비강남권 아파트 낙찰가율이 크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강남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와 강북 개발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이다. 법원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은 지난 1분기 서울지역 법원 경매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을 조사한 결과 비강남권이 상위 5위를 모두 휩쓸었다고 4일밝혔다. 낙찰가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용산구로 1분기 평균 106.25%를 기록했고, 영등포구가 98.51%, 동작구 97.05%, 양천구 93.63%, 성동구 91.48% 순이었다. 지난해 4분기 낙찰가율은 강남구(96%)가 1위, 송파구(95.05%)가 3위를 차지한 것과 대조적인 결과다. 지지옥션 강은 팀장은 "계속되는 재건축 규제와 세금 부담이 커진 강남권과 달리 비강남권은 뉴타운 사업과 U턴 프로젝트 등 강북권 광역개발에 속도가 붙으면서 투자자와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 같다"며 "특히 용산, 성동구와 같은 한강주변과 양천구 등 교육.주거환경이 우수한 곳이 인기를 끌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고가 낙찰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 20일에 낙찰된 양천구 목동 목현아파트 17평형은 30명이 경합을 벌여 감정가 8천500만원의 144%인 1억2천250만원에 낙찰됐다. 또 23일에는 용산구 원효로 산호 아파트 30평형과 서빙고동 신동아 아파트 55평형은 각각 낙찰가율 123%와 120%에 주인을 찾기도 했다. 지난 3월부터는 수도권과 강남권의 낙찰가율도 상승 기미를 보이고 있어 전반적인 아파트 경매 시장이 활기를 띨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디지털태인 조사 결과 지난달 수도권 낙찰가율은 88.14%로 2003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강남권(강남, 서초, 송파, 강동구)도 2월대비 0.43% 상승한 88.46%를 기록했다. 디지털태인 이영진 부장은 "정부의 부동산 안정대책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뛰고,매물은 품귀 현상을 보이자 경매시장에 눈을 돌리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며 "이번 달에는 공인중개사의 법원 입찰대리도 시행돼 정부의 3.30대책이 집값을 얼마나안정시키느냐에 따라 경매시장의 분위기도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