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사람은 인생 행로가 서로 엇갈린다. 1940년 생인 김 전 위원은 대학에서 독일어를 전공하고 1970년대 초까지 독일에서 경제학을 공부했다. 그는 이후 1980년대 말까지 민정당 국회의원과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냈다. 이 때는 근대화 이후 정부가 가장 적극적으로 시장에 개입해 대기업을 육성하던 시절이다. 그가 1987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반대를 무릅쓰면서까지 경제민주화 조항을 헌법에 넣을 수 있던 배경은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의 결과였다.
반면 1945년생인 이 원내대표는 1969년부터 10년 가까이 재무부 관료 생활을 지낸 후 미국에서 경제학을 배웠다. 김 전 비대위원이 한국의 경제정책을 주도하던 시절, 이 원내대표는 미국에서 시장 자율을 중시하는 경제학을 배운 셈이다. 김 전 위원이 정치 일선에서 잠시 물러나 있던 1980년대 후반부터 15년 간 이 원내대표는 대우경제연구소의 대표적 인사였다. 이 때문에 그는 김 전 위원으로부터 ‘재벌 대변자’라는 비판을 들었지만 그 스스로는 오히려 대기업의 문제를 정확하게 짚어낼 수 있다고 강조한다.
당내 의원들은 두 사람의 눈치를 보는 기색이 역력하다. 김 전 위원과 생각이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당 경제민주화 실천모임이 대표적이다. 모임 관계자는“구체적인 정책까지 김 전 위원이 합의한 것은 아니다”라면서“괜히 이 원내대표나 최경환 의원의 반감을 사면 당론으로 추진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조심스럽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