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월 18일] 종잡을 수 없는 북측의 '대남공세'

북한의 대남공세가 종잡을 수 없다. 연초부터 평화공세를 계속해온 북한은 지난 15일 느닷없이 국방위원회 대변인 발표를 통해 "남한 당국의 본거지를 날려버리기 위한 거족적 보복성전을 벌이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북남관계 개선 및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대화와 협상에서 제외하겠다"고 협박하기도 했다. 평화공세와 긴장조성은 북한의 상투적인 수법이지만 이번에는 최고 통치기구인 국방위가 나섰다는 점에서 가볍게 보기 어렵다. 이 같은 발표가 나오기 몇 시간 전만 해도 북측은 지난해 정부가 제안한 옥수수 1만톤을 받겠다는 전통문을 보냈다. 14일에는 금강산ㆍ개성관광 재개를 위한 당국 간 실무접촉을 공식 제안하는 등 연초부터 이어진 평화공세를 계속했다. 북측이 갑자기 태도를 바꾼 것은 북한의 돌발사태에 대비해 정부가 비상계획을 마련한다는 언론보도 때문으로 알려졌다.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이나 쿠데타 등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북한에 들어가 비상통치를 담당할 기구를 세운다는 내용이다. 국방위가 격한 반응을 보인 것은 '신성 불가침'인 김 위원장의 사망 등을 거론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국방위가 나선 것도 이례적이지만 과격한 표현을 구사하고 있어 예사롭지 않다. 북한이 비핵화보다 평화협정을 먼저 체결하기 위해 남한에 쐐기를 박으려는 노림수로도 보이지만 대비는 철저히 해야 한다. 성명서 내용대로 6자회담과 평화협정 논의과정에서 우리를 배제하려 한다면 남북 간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도 있다. 유사시 북한의 혼란에 대비해 비상계획을 세우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사망이나 체제붕괴 등을 공공연히 언급해 북한을 자극할 필요는 없다. 모처럼 되살아나고 있는 대화 분위기에 도움이 안 된다. 협박이나 남한 지형을 대상으로 한 군사훈련 등에 경고도 하고 대비도 철저히 하되 신중한 대처가 요구된다. 현재 북한은 화폐개혁의 후유증에다 유엔 제재 등 안팎으로 어려움에 처해 남북협력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국방위 성명을 계기로 금강산 등 관광재개 실무접촉이나 19일의 해외공단 남북 합동시찰에 대한 남북평가회의 등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북측의 진의를 파악하면서 대화 및 경협의 물꼬를 트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