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안정세 두바이油 '안심못해'

동절기 수요증가 등으로 가격급등 가능성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중동산 두바이유의 가격이 상대적인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향후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배희연 대외경제정책연구소(KIEP) 연구원은 24일 발간한 ‘국제유가 급등의 원인과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동절기 난방용 수요 증가와 이라크 정정불안으로 인해 두바이유와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의 가격차가 점차 축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두바이유와 WTI는 과거 동조현상을 보였으나 올들어 가격차가 계속 벌어져 이달 초에는 사상 최대 수준인 배럴당 14.5달러까지 확대됐다. 이는 WTI의 경우 허리케인으로 인한 미국 멕시코만 유전지대의 생산 차질과 미국 내 원유재고 감소 등으로 폭등세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두바이유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증산책으로 안정적인 등락폭을 유지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그러나 배 연구원은 “WTI는 연말까지 배럴당 50~55달러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WTI가 계속 50달러 이상을 유지할 경우 두바이유 가격도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WTI는 지난 22일 배럴당 56.43달러에 장을 마감, 처음으로 56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는 특히 4ㆍ4분기에는 동절기 석유제품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총선을 앞둔 이라크의 정정불안 등으로 인해 두바이유를 비롯한 국제유가에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배 연구원은 다만 최근 중국의 석유수요 증가율이 둔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은 향후 국제유가의 하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산업자원부는 20일 ‘국제유가 상승과 석유 부문의 무역수지 분석’ 자료를 통해 지난해 배럴당 26.79달러를 기록한 두바이유의 가격은 1~8월 현재 평균 32.68달러로 상승했으며 올해 연간 기준으로는 34.73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