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학교수는 신입생 모집 영업사원?

고교 찾아다니며 술사고 밥사고…교사가 금품요구도

대학의 1학기 수시모집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일부 대학들이 신입생 유치를 위해 고교에 금품을 제공하거나 모집 기간에 등록을 종용하는 등 불법적인 행태가 속출해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19일 광주.전남지역 일부 대학과 일선 고교에 따르면 최근 신입생 모집난이 가중되면서 일부 대학들이 신입생 1인당 수십만원의 유치비를 책정하는 등 신입생유치를 둘러싼 `뒷거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심지어 신입생 유치를 위한 홍보에 나선 대학 교수에게 고교 교사들이 노골적으로 금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교육계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있다. 실제로 A대학의 경우 고교측이 지원 학생을 소개하고 해당 학생이 등록을 할 경우 20만-30만원의 사례비를 학교측에 전달키로 했고 B대학도 학생 1인당 유치비를 15만원 안팎으로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일부 대학에서는 실업계 고교 특정 학과에 수백만원을 건넸다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한 대학 교수는 자신이 속한 학과의 학생들을 모집하기 위해 여름방학도 잊은 채 일선 학교에 영업사원처럼 홍보를 하러 다니면서 아예 돈을 싸들고 나가고 있다고 실토했다. 이 교수는 "신입생 충원율이 낮을 경우 폐과 위협에 시달리는 등 돈을 써서라도학생을 모집해야 하는 실정"이라며 "이같은 잘못된 관행은 대부분 대학에서 비슷하며 생존차원에서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대학의 교수는 "대학에서도 돈을 준비하지만 일선 고교에서 노골적으로적지 않은 돈을 요구해 당혹감을 느낀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며 "일선 고교는 받은돈으로 환경정화를 하든가 교원 회식비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광주지역 한 전문대는 수시모집 원서접수 기간에 학생의 부모에게 전화를 걸어 `등록을 하지 않으면 합격이 취소된다'는 얼토당토 않은 말로 등록을 종용한 것으로 드러나는 등 신입생 모집을 둘러싼 각종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교조 광주지부 관계자는 "지난 5월부터 일선 학교에서 대학으로부터 학생유치와 관련해 돈봉투를 받은 사례가 여러 건 접수됐다"며 "돈봉투를 돌려주도록 하고 교사들이 자정운동을 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