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조 5곳중 2곳 "주5일근무 요구할것"

내달 하순부터 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주5일 근무제가 시범실시 되는 가운데 기업체 노조 5곳 중 2곳 이상이 올해 임ㆍ단협때 주40시간과 주5일제 근무를 요구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노총은 이달초 산하노조 208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올 임ㆍ단협때 주40시간 및 주5일제 근무를 교섭안으로 요구할 지의 여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는 비율이 41.8%로 조사됐다고 19일 밝혔다. '하지 않겠다'는 노조는 18.3%였으며, '아직 불확실하다'는 응답은 36.1%를 차지했다. '요구하겠다'는 비율을 산업별로 보면 공공금융부문 74.4%, 운수서비스업 40.6%,제조업 33.3% 순이었으며 규모별로는 종업원 3,000명 이상 73.7%, 1,000∼2,999명 48.3%, 300∼999명 37.3%, 100∼299명 36.8% 등으로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주5일제 도입방식에 대해서는 주40시간제 도입을 통한 방식이 67.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시간 단축이나 연ㆍ월차 대체 6.3%, 평일 노동시간 증대 1.9% 등을 꼽았다. 이에 따라 주5일제 도입과 관련, 노조의 13.5%는 '연ㆍ월차나 임금 일부를 양보하더라도 도입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힌 반면, '휴일이나 휴가, 임금을 삭감할 경우에는 반대한다'는 의견이 74.5%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들은 그러나 주5일제 교섭요구때 관철여부 전망에 대해서는 '가능하다'17.8%, '불가능하다' 24.0%, '아직 불확실하다'52.9% 등으로, 부정적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