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원자재값 급등, 경영악화 요인 급부상

부산·울산 中企 '내수부진' 이어 두번째로 꼽아

부산과 울산지역 중소기업인들이 이달들어 치솟는 원자재가격에 잔뜩 긴장하고 있다. 7일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지역본부가 부산·울산지역 중소기업 18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4월 중소제조업 업황전망 건강도지수(SBHI)' 결과에 따르면 경영 악화가 예상되는 요인으로 '내수부진'(56.2%)이 가장 많았고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45.4%), '업체간 과당 경쟁'(36.2%) 등이 꼽혔다. 이 가운데 '내수부진'과 '업체간 과당경쟁'은 전달대비 하락한 반면 '원자재 가격 상승'은 9.9%포인트 올랐다. 최근의 가파른 원자재가 상승 추세가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지역내 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중소기업청 원자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고철 가격은 전월대비 48%, 전년대비 120% 급등했고철근 가격도 전월, 전년 각각 37%씩 오르는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모두 두 자리 수 이상 올랐다. 이에 따라 철근의 최대 수요처인 지역 건설업계는 공사원가 상승으로 직격탄을 맞게 됐고 신규 사업 중단도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최근 선박수주 소식에 회생 기대를 했던 지역 조선재업계는 원자재값 상승이 조선재 납품가에 반영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지역 건설사 관계자는 "분양가가 확정된 상황에서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그 차액은 건설사가 떠안을 수밖에 없다"면서 "이 상태로 원자재 가격이 더 오른다면 적자 공사를 해야 할 처지"라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