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위기 과장론 납득하기 어렵다"

■재계ㆍ중소기업 반응

재계는 7일 노무현 대통령이 17대 국회 개원연설에서 “임기 중 매년 6% 이상의 경제성장을 달성하겠다”며 경제운용에 대한 자신감을 보인 데 대해 적극 협력하겠다고 화답했다. 또 중소기업계도 중소기업의 기술개발ㆍ인재양성ㆍ시장개척 지원과 금융애로 해소대책 마련을 크게 반기면서 이번에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지금은 경제위기가 아니다”는 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서는 안일한 현실인식이라는 질타가 쏟아졌다. ◇재계 “투자확대” 화답=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날 공식논평을 통해 “경제의 성장잠재력 확충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각 경제주체가 합심 노력해 어려운 경제를 회생시켜야 할 때”라며 “기업은 투자확대에 주력해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노 대통령이)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발전을 위해 정부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노사도 이제는 대화와 타협을 통해 모든 노사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노력과 함께 일자리 창출과 경쟁력 제고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계 실질적 지원 기대=기협중앙회는 “중소기업 대책을 경제정책의 중심에 두겠다는 노 대통령의 연설을 환영한다”며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역할과 중요성을 고려해 (대책이) 적극 추진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한기윤 중앙회 조사상무는 “단기적으로는 인력난ㆍ운영자금난 등 중소기업들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해주면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당장은 어려워도 비전이 있는 기업을 적극 지원하는 쪽으로 정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며 “중소기업의 품질ㆍ기술 등 질적 경쟁력을 높이는 데 대책의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조현정 벤처기업협회 홍보담당 부회장(비트컴퓨터 사장)은 “지난달 노 대통령과의 간담회 때 중소ㆍ벤처기업인들이 건의한 것들을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하니 반갑다”며 “특히 수출호조, 대기업 등의 이익률 상승 등에 가려져 관심이 덜했던 중소ㆍ벤처기업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대책도 내놓겠다고 한 것은 다행스런 일”이라고 평가했다. ◇‘위기 과장론’ 동의 못해=재계와 중소기업계는 이날 노 대통령이 “지금은 경제위기가 아니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대체로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전경련의 한 관계자는 “지금 중요한 것은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 창출을 위해 힘을 모으는 것이므로 위기냐 아니냐를 따지지 않겠다”며 “노 대통령의 ‘위기 과장론’에 대해 논평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총의 한 관계자는 “기업이나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지수는 최악인데 (노 대통령이)일부 업종의 호황만으로 현실을 안이하게 보고 있는 것 아니냐”며 “특히 노사문제의 경우 6월 노동계의 하투 등을 앞두고 벌써부터 충돌이 벌어지는 등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는데 일부 사업장에서 이뤄진 노사 무교섭 타결 사례만을 토대로 상황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A그룹의 관계자도 “우리 경제가 현재 위기인가 아닌가는 시각에 따라 다르게 판단할 수 있지만 일선에서 뛰는 기업들로서는 체감경기가 좋지 않다는 것이 사실”이라며“주요 경제주체인 기업이 느끼는 경제현실 인식과 또 다른 경제주체인 정부의 수장인 대통령이 느끼는 현실간 간극이 여전히 크다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co.kr 문성진기자 hnsj@sed.co.kr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