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우리금융 매각 또 무산… 사실상 차기 정권으로

입찰에 MBK만 참여<br>유효경쟁 성립 안돼


공적자금 13조원이 투입된 국내 최대 금융그룹인 우리금융지주 매각이 또다시 무산됐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은 장기화가 불가피해졌으며 국민주 방식의 매각을 비롯해 극적인 반전이 없는 한 다음 정권으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7일 우리금융 매각 예비입찰을 마감한 결과 "MBK파트너스만 참여해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았다"며 우리금융 매각이 무산됐다고 밝혔다. 지난 6월 말 MBK와 함께 인수의향을 밝혔던 보고펀드와 티스톤파트너스는 전략적투자자(SI)를 비롯한 국내의 유력한 자본을 찾지 못해 예비입찰에 불참했다. 우리금융 민영화 무산은 KBㆍ하나금융 등 대형 금융지주사의 우리금융 인수를 수월하게 하는 금융지주사법 시행령 개정이 6월 국회에 가로막혀 좌초되면서 일찍부터 불발 가능성이 제기돼왔다. 특히 사모펀드 3곳만 우리금융 인수의향을 밝혀 소위 '먹튀' 논란으로 국민적 반감이 큰 사모펀드의 대형 금융지주사 인수에 논란이 거셌다. 최근에는 증시폭락으로 헐값매각 논란까지 더해지며 공적자금 회수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돼 인수의향을 밝혔던 사모펀드나 투자를 고려했던 외국인이 결국 입찰참여 계획을 접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말 1만5,500원이던 우리금융 주가는 이날 1만2,100원으로 떨어졌다. 매각이 무산되면서 우리금융 민영화는 2~3년 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다. 최근 정치권에서 제기된 국민주 방식의 우리금융 민영화가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공론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금융당국이 이를 곧장 실행에 옮기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선거를 앞두고 국민주 방식의 민영화에 대해 정치권이 논의할 수 있겠지만 실제 이행하려면 법에 명시된 우리금융 매각원칙 등을 수정해야 한다"며 "국민주 방식의 우리금융 민영화도 단점이 많아 차기 정권에서나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