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웰빙 방법도 세대따라 다르다

`웰빙의 방법도 세대별로 다르다' 제일기획은 13∼44세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세대별 웰빙의 특징을 규명한 '2004년 웰빙, 이 시대의 신라이프 스타일'이라는 보고서를 22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1318(13∼18세) 세대의 웰빙은 `부모가 챙겨주는 베이비 웰빙' ▦19∼24세는 내 방식대로 해석하고 즐기는 프로슈머(생산적 소비자) 웰빙 ▦25∼34세는 제대로 즐기는 프로페셔널 웰빙 ▦35∼44세는 잃어버린 나를 찾는 구도의 웰빙으로 각각 정의했다. ◇1318 세대= 이 세대의 웰빙을 대표하는 단어는 `돌봄'(Care)이다. 본인 스스로 실천하기 보다는 부모의 강요에 못이겨 마지 못해 하는 울며 겨자먹기식이다. 건강식단이 밥상을 가득 채우지만 모든 생활이 공부에 초점이 맞춰진 빈틈없는 일상에서 웰빙은 본인과는 상관없다. ◇1924 세대 = 대표단어는 `개성'(Color).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주위에 '웰빙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뉴트렌드의 전도자이다. 유행을 못따라 가면 소외당한다는 강박관념이 있고 경제적 여유는 없지만 내 마음대로 즐길 수 있다. 진정한 웰빙은 자신만의 특권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은 아톰이나 태권브이 로봇 등을 구입하며 취미에 만족한다. ◇2534 세대 = 이 세대의 단어는 `실속'(Core)이다. 직장생활을 하는 이들은 1924세대 보다는 경제력이 뒷받침되지만 직장에 몸담은 지 얼마 안돼 제대로 된 집단스트레스를 체험한다. 아침에는 커피대신 허브티, 점심은 1주일에 두세번 이탈리안 샐러드 바, 저녁은 고기 대신 버섯이나 두부가 들어간 채식 위주의 식단을 즐긴다. 지금부터 자신을 아끼고 자신에게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3544 세대 = 한마디로 `전환'(Conversion)이다. 이들에게 웰빙은 복고이고 회귀이다. 늘어가는 양육비와 생활비로 늘 경제적으로 부족하다고 느끼는 세대인 이들은 웰빙을 숨가쁜 디지털 사회의 휴식처로 받아들인다. 많이 걷도록 노력하며 주말이면 가족들과 산책과 등산을 즐긴다.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사회와 도시 생활에서 탈출하고 싶은 욕구를 갖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