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경제 변동성 환란 전의 두배로

우리나라의 경기·소비·투자 불안정성이 외환위기 이전보다 두배 이상 커진 것으로 진단됐다. 이는 수출 환경등 해외 변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반면 내수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3일‘최근 경기변동의 특징과 시사점’이란 보고서를 통해 외환위기이후(98년~2006년) 한국경제의 변동성은 4.92%로 외환위기 이전(90년~97년)의 2.08%보다 약 2.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쉽게 말해서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경제변수에 대한 반응도가 외환위기 이후 2.4배 가량 높아졌다는 의미다. 상의는 외환위기 이후 경기변동성이 확대된 이유로▦국내 성장구조에서 소비^투자등내수의 역할 축소▦계속 짧아지고 있는 경기 사이클 ▦경기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소비와 투자가 줄어드는 악순환의 구조 등을 꼽았다. 상의는“외환위기 이전 7.5% 포인트에 달했던 내수(최종소비+총자본형성)의 성장 기여도는 이후 2.4%포인트로 크게 낮아진 반면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0.4%포인트에서 2.0%포인트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