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전세가 폭등… 한달새 최고 5,000만원 '껑충'

강남·노원구등 학군수요 몰리고 공급 부족까지 겹쳐 상승 부추겨<br>'대치동 아이파크 109㎡' 두달새 최고 7,000만원 올라 6억 훌쩍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이 학군수요, 공급 부족 등의 이유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17일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강남구와 노원구 등에서 학군이 좋고 유명 학원가에 가까운 지역은 최근 한달 새 2,000만 원에서 최고 5,000만 원 가량 전세 가격이 올랐다. 도곡동 렉슬아파트 109㎡(이하 공급면적 기준)는 최근 지난해 말보다 5,000만 원 오른 6억 원에 거래됐고 대치동 아이파크 109㎡는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 7,000만 원 오른 6억~6억3,000만 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도곡동의 S공인중개사 관계자는 "렉슬아파트는 찾는 사람은 많은데 나오는 물건이 워낙 없다 보니 요즘엔 부르는 게 값이 돼버렸다"며 "학군, 학원이 좋다 보니 주로 학부모들이 많이 문의를 한다"고 전했다. 대치동의 한 공인중개사 관계자도 "이 일대는 여름, 겨울 방학이 시작되기 한달 전부터 가격이 오르기 시작해 지금은 거의 마지막 단계로 접어든 상태"라며 "대기수요가 이전에 비해 줄어들긴 했지만 지금도 각 공인중개사마다 2~3명씩 대기자가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양천구와 노원구 등도 상승세는 다소 주춤해졌지만 전세 매물 부족으로 가격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목동 대림2차 115㎡는 지난달까지 평균 2억9,000만 원 선에서 거래가 됐지만 최근엔 3억 원 초반대로 올랐다. 목동의 W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격은 꾸준히 오름세를 보이다 지금은 강보합세로 돌아선 상태"라며 "방2개짜리 80㎡ 안팎의 아파트는 전세 물량이 매우 귀하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겨울방학철에는 '학군 수요'때문에 교육환경이 좋은 지역의 전세가격은 오름세를 보이지만 올해는 전반적으로 전세 물건이 부족한데다 매매 거래마저 뜸해 전세가 상승이 확산되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 설명이다. 광진구 자양동 우성1차 69㎡의 경우 지난해 12월에는 1억5,000만 원 안팎에서 거래가 됐으나 최근 1억7,000만 원으로 올랐다. 또 이튼타워리버1차 112㎡도 한달 전보다 5,000만 원 가량 오른 3억5,000만 원에 최근 거래가 이뤄졌다. 자양동의 K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이 일대는 학군수요보다는 강남, 잠실로 접근이 편리해 직장인들이 많이 찾고 있지만 물건이 나오지 않아 한달 새 가격이 수 천만 원 이상 올랐다"며 "물량이 부족해 당분간 가격 강세현상은 지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학군 및 직장인 수요 외에 멸실 주택 증가도 전세가 상승을 부채질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 입주 예정인 아파트는 총 3만6,000여 가구(임대 포함)로 2000년 이후 연평균 물량인 5만7,000가구에 크게 모자라지만 뉴타운ㆍ재개발에 따른 멸실가구는 지난해의 4배 이상인 9만8,000여 가구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