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광공업 경쟁력 향상 '청신호'

■ 공정위, 99년 기준 시장집중도 조사업종.품목별 '빅3' 비중도 낮아져 광공업분야의 시장집중도가 외환위기 이후 다시 하향추세를 보여 산업의 경쟁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7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99년 광공업 통계조사를 토대로 상위 100대 기업의 일반집중도 및 산업ㆍ품목별 시장집중도를 조사한 결과 경기회복과 이에 따른 기업수 증가로 상위기업의 시장지배 정도가 98년보다 낮아졌다. 상위 100대 기업이 전체 출하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인 일반집중도는 45.1%로 외환위기 직전인 97년의 44.2%에 비하면 여전히 높았으나 98년의 45.9%에 비해 낮아졌으며 고용기준 집중도는 18.1%로 외환위기 전의 20.1%보다도 낮아졌다. 상위 3개사의 시장점유율(CR3)은 신규시장 진입자수의 증가로 45.4%를 기록, 98년(50.0%), 97년(48.6%)에 비해서 상당폭 개선됐다. 그러나 정유 및 자동차ㆍ전자집적회로ㆍ제철ㆍ제강ㆍ방송ㆍ무선통신기기 등 거대자본이 소요되는 장치산업들은 산업의 특성을 반영, 70% 이상의 높은 집중도를 나타냈다. 또 최상위사 시장지배율이 50% 이상이거나 상위 3개사 점유율이 75% 이상인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해당품목 비중은 55.3%로 98년(56.9%), 97년(56.0%)에 비해 개선추세를 보였다. 공정위는 이에 대해 출하액 1조원 이상, 100억원 이하 품목의 경우 시장특성상 사업자수 자체가 소수로 높은 집중도를 보인 반면 100억∼1조원 규모 시장의 집중도가 낮아진 것은 신규진입 기업의 증가로 기존 상위업체 점유율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공정위는 이번 조사결과를 독과점시장구조의 개선 및 경쟁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한편 매년 공표하던 시장집중도 조사를 독일ㆍ일본처럼 2년마다 공표하기로 하고 대신 기존 광공업 외에 금융업ㆍ정보통신업 등 서비스분야도 조사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권구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