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월 5일] '더 큰 대한민국' 선언한 이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이 4일 신년 국정연설에서 ' 더 큰 대한민국'을 집권 3년차 비전으로 선언했다. 이를 위한 3대 국정기조로 글로벌 외교 강화, 경제활력 제고 및 선진화 개혁, 친서민 중도실용정책을 내세웠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경제회생, 교육개혁, 지역발전, 정치선진화 개혁, 전방위 외교를 5대 핵심 과제로 설정했다. 지난해 선제적인 비상대책을 통해 글로벌 경제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여세를 몰아 올해는 '더 큰 대한민국'을 향해 뛰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올해는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 해다. 길게 보면 한일 강제병합 100년, 6ㆍ25전쟁 60년, 4ㆍ19혁명 50주년, 5ㆍ18민주화운동 30주년이 되는 해이고 짧게는 6ㆍ15남북공동선언 10주년이 된다. 세계경제도 큰 변화의 소용돌이 가운데 있다. 금융위기로 촉발된 세계경제 위기와 기후환경 위기로 구질서가 해체되고 새로운 질서가 구축되는 전환기적 시기이다. 이런 격변의 시기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우리나라가 선진 일류국가로 도약하느냐 아니면 이류국가로 주저앉느냐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각별한 각오가 요구된다. 집권 중반기에 들어선 이명박 정부의 성패 또한 사실상 올해를 어떻게 넘기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글로벌 경제위기를 훌륭하게 극복했지만 신상장동력 확충과 일자리 창출 등 풀어야 과제가 산적해 있다. 정치적으로는 오는 11일 발표될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을 비롯해 4대강 문제, 아프가니스탄 파병, 6월의 지방선거 등 난제들을 앞두고 있다.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관계와 6자회담의 돌파구를 찾는 일도 만만찮은 과제이다.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준비도 큰 부담이다. 이 같은 과제들을 원만히 풀어나갈 때 대통령이 선언한 '더 큰 대한민국'도 가능하다. 그러나 '더 큰 대한민국'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정치권과 국민 모두 소모적이고 자기파괴적인 정쟁과 갈등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힘을 모아야 한다. 2010년이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원년, 나아가 100년 번영을 위한 초석을 놓는 해가 되도록 우리 모두 심기일전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