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에서 이를 뽑으면 동시에 일부 기억도 사라진다는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우메아대의 심리학 부교수인 얀 베르그달이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 1988년부터 35~90세 성인 1천962명을 대상으로 치아가 있는 사람들과 치아를 몽땅 뽑고틀니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 간의 기억력을 비교했다.
베르그달 교수는 "조사 결과 치아가 없는 사람들의 기억력이 치아가 있는 사람들의 기억력보다 훨씬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기억력에서 치아가 매우 중요한역할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일본에서 쥐와 원숭이를 대상으로 치아와 기억력간 관계를 증명한 적이 있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치아와 기억력 간의 관계를 이처럼 대규모로 실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에서 치아를 한 개 뽑았을 때 기억력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했지만 베르그달 교수는 "앞으로 치아를 몇 개 잃었을 때부터 기억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충치가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인공치아 이식이 기억력에 끼치는 영향 등에 대해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동물 실험에서 치아를 뽑으면 뇌로 가는 신경이 끊어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면서 이번 연구결과가 앞으로 나이 든 사람들의 치과 치료에 큰 변화를 가져올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넷판은 28일 스트레스가 단기기억 상실을 가져올 수있다는 미국 예일 의대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단백질 키나아제 C(PKC)'라는 뇌 속의 효소가 활성화되는데 이 효소는 단기기억을 손상시키고 뇌의 집행-결정기관인 대뇌피질의 다른 기능을 손상시킨다.
정신분열증이나 조울증 환자에게서도 이 PKC 효소가 활성화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PKC 효소는 뇌의 일부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신분열증이나 조울증 환자가 보이는 산만함, 충동, 판단장애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통제할 수 없는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PKC 효소가활성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PKC 효소를 억제하는 약을 개발하면 정신분열증이나 조울증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예일 의대 연구진의 연구결과는 28일자 과학잡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스톡홀름 AFP=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