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휴대폰으로 상품·영화·교통정보가 '쫙~'

'모바일 무선인식' 서비스 첫선…내년 상반기 상용화 기대

휴대폰을 통해 상품이나 영화 정보는 물론이고 버스의 도착시간까지 미리 알 수 있는 ‘모바일 무선인식(RFID)’ 서비스가 시작된다. 정보통신부는 27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SK텔레콤, KTF와 함께 ‘모바일 RFID 시범서비스 개통식’을 갖고 운영에 돌입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시범서비스에서 SKT는 음악이나 영화 등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 중심의 ‘u-포탈’ 서비스를 운영한다. KTF는 와인 병에 RFID 태그를 부착해 와인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버스 정류장에서 도착 정보 등을 알 수 있는 ‘u-스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택시 승차 정보를 제공하는 안심 서비스를 비롯해 식품, 의약품, 한우, 관광지 등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부문 서비스도 12월까지 선보인다. 정통부는 지난 6월 모바일 RFID 시범사업자로 SKT와 KTF를 선정했으며, 4개월 여간의 준비 끝에 세계 최초로 시범서비스를 개시하게 됐다. 정통부는 모바일 RFID 시범서비스의 홍보와 검증을 위한 260명 규모의 체험단을 구성할 예정이며, SKT는 서울시내 8곳에 체험관을 운영한다. 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모바일 RFID 시범사업은 세계 최초로 900MHz 대역의 모바일 RFID를 우리 기술로 개발, 서비스에 돌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시범 사업을 거쳐 내년 상반기 중에 상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